뷰페이지

[문화마당] 우리말이 왜 이래?/박조원 한양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문화마당] 우리말이 왜 이래?/박조원 한양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입력 2018-10-31 22:32
업데이트 2018-10-31 22: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말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한다. 같은 단어라도 시간이 지나면서 의미가 바뀌고, 새로운 단어가 만들어지기도 한다.
이미지 확대
박조원 한양대 정보사회미디어학과 교수
박조원 한양대 정보사회미디어학과 교수
최근 이러한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 직장인들이 쓴다는 ‘급여체’, 학교에서 급식을 먹는 10대들이 많이 쓴다는 ‘급식체’는 이러한 현상의 단면을 보여 준다. 급식체를 얼마나 아는가에 따라 ‘할배’가 되기도 하고 ‘아재’가 되기도 한다.

그런데 이제는 신조어의 급속한 양산에서 더 나아가 우리말의 문법 자체가 바뀌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때가 많다. 심지어 문법이 파괴되고 있다는 생각까지 든다.

주어에 어울리지 않는 불필요한 공대형 서술어와 수동형 서술어의 남발은 귀에 무척 거슬린다. 우리 고유의 문법에서 많이 벗어나는 어투다. 이러한 문법의 파괴는 세대와 집단을 뛰어넘어 우리 사회 전체에서 나타나고 있다.

지난 추석 때 거리에는 어김없이 현수막이 걸렸다. 현수막 문구의 여덟 아홉은 “즐거운 추석 명절 되세요”였다. 그냥 “추석 명절 즐겁게 보내세요” 하면 되는 것 아닌가. 이런 현수막을 내건 국회의원, 구청장, 시의원 등은 이것이 잘못된 표현이라는 생각을 못하는 걸까.

이제는 “즐거운 주말 되세요”, “행복한 하루 되세요”가 자연스러운 인사말이 됐다. 카페에 가면 주문하신 초코 프라푸치노가 두 잔 ‘나오시고’, 결제를 할 때는 금액이 1만 5000원이 ‘나오신다’. 화장실이 어디 있냐고 물으면 문 밖으로 나가시면 건물 왼편에 ‘있으시다’고 한다.

초코 프라푸치노가 아르바이트생의 시급보다 높기 때문에 공대한다는, 요즘 젊은 사람들 표현으로 ‘웃픈’ 소리도 있다. 한술 더 떠서 은행 창구에서는 신분을 확인해야 한다며 “신분증 보실게요”라고 한다. 이렇게 이야기하면서 틀린 표현이라는 생각은 전혀 안 하는 듯하다. 도대체 어느 나라 말인지.

물론 이러한 어투에 대한 다른 해석도 있다. 불필요한 시비에 휘말릴까봐 무조건 공대형 서술어를 붙인다는 것. 우리 사회의 고질적 병폐인 갑을 관계가 은연중 언어에 반영된 것이라는 해석이다.

학생들이 낸 과제를 채점하다 보면 “~되어진다, ~하여진다, ~으로 보여진다” 같은 표현을 많이 본다. 그냥 “된다, 한다, 보인다”로 하면 되는 것을 쓸데없이 수동형 서술어를 쓴다. 학생들만 그런 게 아니다. 텔레비전 시사 토론 프로그램에 출연하는 학식이 높은 기자, 교수도 그런 판이니 여간 심각한 문제가 아니다.

시사 토론 프로그램의 한 토론자는 “그 부분은 그런 가능성이 없는 부분이라고 볼 수는 없다고 생각되어지는 부분입니다”라고 한다. 한 문장에 ‘부분’이라는 단어가 세 번 등장하고 이중부정에 수동태까지 나온다. 맨 처음 ‘부분’ 외에 뒤에 두 개의 ‘부분’은 아무런 의미도 없다. 그냥 “그럴 가능성이 있다”고 명확하게 얘기하면 될 것을 불필요하게 돌려서 말한다.

라디오 음악 프로그램 진행자는 “○○○의 노래를 듣고 오실게요”라고 한다. 그냥 “○○○의 노래를 들으시겠습니다”라거나 “○○○의 노래를 들려드리겠습니다”라고 하면 될 텐데 이런 말투가 입에 붙었나 보다. 이는 사람들이 자신의 의사를 명확히 드러내는 것을 꺼려하기 때문이 아닐까.

물론 언어란 변화하는 것이기는 하지만 이러한 말투가 우리말의 본질을 훼손할 지경에 이르렀다면 심각한 문제로 받아들여야 한다. 여기에는 사회적 환경의 탓도 있을 것이다. 이제부터라도 말하기, 글쓰기 교육이 자신의 의견을 명확하게 드러낼 수 있도록 하는 데 주안점을 두어야 하지 않을까.
2018-11-01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