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2018 서울미래컨퍼런스] 최첨단 기술의 연결, 인류 가치를 높인다

[2018 서울미래컨퍼런스] 최첨단 기술의 연결, 인류 가치를 높인다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18-10-18 22:20
업데이트 2018-10-19 00: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스마트시티는 4차 산업혁명 실험장…빅데이터 활용 시민 삶 풍요로워져”

이미지 확대
18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서울신문 주최로 열린 2018 서울미래컨퍼런스에서 ‘블록체인: 일상을 바꾸는 기술의 진화’ 세션에 패널로 참여한 최양희(왼쪽부터·전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서울대 교수, 이은철 비트퓨리그룹 한국지사장, 박성준 동국대 블록체인연구센터장, 이은솔 메디블록 공동 대표가 토론을 하고 있다. 올해 3회를 맞은 서울미래컨퍼런스에서는 우리 시대 최고 화두인 4차 산업혁명을 두루 조망했다.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18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서울신문 주최로 열린 2018 서울미래컨퍼런스에서 ‘블록체인: 일상을 바꾸는 기술의 진화’ 세션에 패널로 참여한 최양희(왼쪽부터·전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서울대 교수, 이은철 비트퓨리그룹 한국지사장, 박성준 동국대 블록체인연구센터장, 이은솔 메디블록 공동 대표가 토론을 하고 있다. 올해 3회를 맞은 서울미래컨퍼런스에서는 우리 시대 최고 화두인 4차 산업혁명을 두루 조망했다.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4차 산업혁명은 아직 오지 않은 미래의 이야기지만 우리 현실로 다가왔을 때는 근본적으로 삶을 바꿀 것입니다. 빅데이터나 인공지능(AI), 자율주행차 같은 4차 산업혁명 기술로 인간적 가치를 높이는 사회를 만들기 위한 실험장이 바로 스마트시티입니다.”

서울신문이 ‘연결의 시대, 그 너머로’라는 주제로 18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개최한 ‘2018 서울미래컨퍼런스’에서 기조 연설자인 정재승 카이스트 교수는 4차 산업혁명이란 여러 기술들이 하나로 연결되면서 장밋빛 기회와 어두운 면을 함께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실험을 통해 보완,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사람이 사는 곳에 기술을 투입해 어떻게 진화해 나가는지 관찰하는 것은 다가오는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하기 위한 필수 과정이라고 강조했다.

인류 역사를 살펴보면 도시는 문명을 담아내는 그릇 역할을 해 왔고 도시민들이 서로에게 배우면서 창조적 기회를 만들어 내고 발전해 왔다. 그렇지만 도시가 커지면서 환경오염, 교통체증, 에너지 대량소비 시스템, 생태계 파괴가 대도시의 지속가능성을 해치고 불평등과 양극화, 높은 범죄율과 각종 안전사고, 일과 삶의 불균형, 경쟁적 교육 등의 문제로 거주민들의 삶의 질을 떨어뜨렸다. 정 교수는 “도시에서 벌어지는 모든 현상과 움직임, 개별 시민들의 행동을 전부 데이터로 만들어 인공지능으로 분석하고 도시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지속가능한 거주 장소를 만들 수 있도록 다양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이 바로 스마트시티”라고 설명했다.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세종스마트시티 마스터플래너(MP)이기도 한 그는 세종스마트시티는 최신 기술로 운용되겠지만 테크놀로지가 보이지 않는 인간 중심적이고 친환경적인 곳이 될 것이라고 소개했다.

정 교수에 이어 ‘트루스 머신, 블록체인과 세상 모든 것의 미래’라는 주제로 두 번째 기조연설자로 나선 마이클 케이시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MIT) 미디어랩 수석고문은 “많은 사람들이 ‘블록체인=가상화폐’라고 생각하지만 가상화폐는 블록체인의 극히 일부분일 뿐”이라며 “블록체인의 핵심은 정보의 신뢰성을 높여 중앙집중형 시스템을 해체시키고 각 개인에게 권한을 분산시켜 상호 견제와 균형으로 사회를 움직이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블록체인 기술을 보다 넓은 관점에서 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최근 일부에서 블록체인 열풍이 1990년대 말 닷컴버블 때와 비슷한 상황이라는 비판에 대해서도 케이시 고문은 그렇지 않다고 잘라 말했다.

케이시 고문은 “2000년대 초 닷컴 버블이 사라졌지만 인터넷은 없어지지 않았고 오히려 더 많은 사람들이 저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반이 됐다”고 지적하며 “단순히 수익과 손실 차원에서 블록체인에 접근한다면 버블로 볼 수도 있겠지만 새로운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과정으로 본다면 전혀 다른 세상을 보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2018-10-19 1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위기 당신의 생각은?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발표 후 의료계와 강대강 대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료인력 공백이 장기화하면서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의료공백 위기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어떤가요.
의료계 책임이다
정부 책임이다
의료계와 정부 모두 책임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