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혼자 살면 행복?…1인 가구 행복도 최하위

혼자 살면 행복?…1인 가구 행복도 최하위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18-10-17 17:58
업데이트 2018-10-17 20: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성인 1000명’ 평균 행복지수 6.3점
1인 가구 5.8점… 4인 가구 6.5점
연령대별 30대가 6.6점 가장 높아


2030세대들이 자발적으로 결혼을 포기하는 비혼(非婚)이 늘고 혼자 사는 것이 더 행복하다고 여기는 풍토가 퍼지지만 실제 조사에선 1인 가구의 행복도가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30대가 가장 행복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지난해 12월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행복 수준 인식을 조사한 ‘행복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보고서’를 17일 발표했다. 조사 대상자의 평균 행복지수(10점 만점)는 6.3점이었다. 주관적 행복도는 6.5점, 삶의 만족도는 6.4점, 미래 안정성은 5.7점이었다.

분석 결과 1인 가구의 행복지수는 5.8점으로 2인 가구(6.3점), 3인 가구(6.4점), 4인 가구(6.5점) 등과 비교해 훨씬 낮았다. 한 사람이라도 가족이 있을 때가 그렇지 않을 때보다 훨씬 행복하다는 의미다. 연구팀은 “사회적 자본, 관계적 측면이 행복의 수준에 상당히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며 “과거 연구에서도 배우자의 유무와 사회활동 참여 정도가 행복에 영향을 주는 중요 변수로 밝혀졌다”고 설명했다.

연령대별 행복지수는 30대가 6.6점으로 가장 높았고 20대(6.4점)와 40대(6.3점), 50대(6.3점), 60대(6.1점) 순이었다. 60세 이상은 미래 안정성이 5.8점으로 높은 편이지만 다른 행복 관련 수치는 다른 연령대에 비해 낮았다. 반면 20대는 30대 다음으로 행복도가 높았지만 미래 안정성은 5.4점으로 최하위였다. 청년층의 높은 실업률과 주거 빈곤 등 불안정한 현실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고학력일수록 행복도가 높았다. 저소득층은 행복지수가 4.8점으로 중하층(5.9점)과 중간층(6.7점), 중상층 이상(7.3점)보다 낮았다. 실업자는 행복지수 5.4점, 주관적 행복도 5.3점, 삶의 만족도 5.1점, 미래 안정성 4.5점으로 경제활동 인구와 비교해 수치가 크게 떨어졌다. 월 소득 100만원 미만 집단도 평균에 크게 뒤처졌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2018-10-18 1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