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남·북·유엔군, 사상 처음 3각테이블에 앉았다

남·북·유엔군, 사상 처음 3각테이블에 앉았다

이주원 기자
입력 2018-10-16 22:40
업데이트 2018-10-17 09: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자협의체 ‘JSA 비무장화’ 논의

53년 정전협정 때 한국군 포함 안돼
전문가 “DMZ 비무장화 첫발” 평가
이미지 확대
역사적 ‘3각 대면’
역사적 ‘3각 대면’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비무장화의 세부 조치를 협의하기 위한 한국군(가운데)·북한군(오른쪽)·유엔군(왼쪽) 3자협의체가 16일 판문점 남측 지역 자유의집에서 첫 회의를 열고 있다.
국방부 제공
16일 판문점에 3각 테이블이 놓여졌다.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비무장화 논의 주체인 한국군, 북한군, 유엔군 3자를 위한 자리였다. 판문점에 3각 테이블이 마련된 건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다. 한국군, 북한군, 유엔군이 각각 대표로 나서 한자리에서 회담을 가진 게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기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1953년 7월 27일 판문점에서 유엔군 대표 윌리엄 해리슨(왼쪽) 중장과 북한군 대표 남일(오른쪽) 대장이 정전협정에 서명하는 모습. 중국 대표는 다른 장소에서 서명했다.  서울신문 DB
1953년 7월 27일 판문점에서 유엔군 대표 윌리엄 해리슨(왼쪽) 중장과 북한군 대표 남일(오른쪽) 대장이 정전협정에 서명하는 모습. 중국 대표는 다른 장소에서 서명했다.
서울신문 DB
북한군은 그동안 한국군을 대화 상대로 인정하지 않았기에 판문점에는 늘 마주보고 앉는 길다란 테이블만 있었다. 유엔군과 북한군 양자가 앉는 테이블이다. 1953년 한국전쟁 정전협정 체결은 유엔군과 중국, 북한 3자의 서명으로 이뤄졌고 한국군은 배제된 사실이 그 배경에 있다. 1976년 판문점 도끼만행 사건 때도 군사정전위원회에서 북한 측 수석대표가 유엔군 사령관에게 구두로 유감을 표명하면서 사건은 일단락됐지만 당시 한국군은 유엔사의 일원으로 참여했을 뿐 독자적 회담 주체는 아니었다. 따라서 이날 한국군, 북한군, 유엔군 3자가 3각 테이블에 앉은 사실 자체로 의미가 크다는 평가가 나온다. 현재 한국정부의 중재 역할을 기반으로 전개되고 있는 한반도 평화 무드가 이전과는 다른 차원의 역동성을 갖고 있다는 방증이라는 해석도 제기된다.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남·북·미가 함께 판 자체를 바꾸는 최초의 만남이 이뤄졌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며 “이번 협의가 비무장지대(DMZ) 전체의 비무장화로 이어지는 출발점이 되는 셈”이라고 평가했다.

이날 오전 10시 판문점 남측 자유의집에서 첫 회의를 가진 남북한과 유엔사 등 3자협의체는 지난 9월 평양 남북정상회담 부속 합의인 남북 군사합의서를 실천하기 위한 기구다. 남측에서는 조용근 북한정책과장(대령) 등 3명이, 북측은 엄창남 대좌(남측의 대령급) 등 3명이 참석했다. 유엔사에서는 군사정전위원회 비서장 버크 해밀턴 대령 등 3명이 대표로 나섰다.

협의체는 이날 화기 및 초소 철수, 경비인원 감축, 감시장비 조정 등 향후 이행해야 할 비무장화 조치에 대한 실무적 문제를 협의했다. 또 지난 1일부터 시작돼 이달 20일 종료될 JSA 지뢰제거 작업 진행사항을 점검했다. 비무장화가 완료되면 JSA 내 북측 초소 5곳과 우리 측 초소 4곳이 철수된다. 다만 JSA 외곽의 ‘돌아오지 않는 다리’ 인근 북측 초소 1곳과 ‘도보다리’ 인근의 우리 측 초소 1곳은 그대로 유지된다. JSA는 남·북한군 각각 35명(장교 5명·병사 30명)의 비무장 인원이 공동 경비하는 방식으로 운용된다. 비무장 공동 경비 인원은 ‘판문점 민사경찰’이라고 적힌 넓이 15㎝의 완장을 왼팔에 착용한다. 관광객 등 민간인도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JSA 내 양측을 각각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게 된다.

이주원 기자 starjuwon@seoul.co.kr

2018-10-17 1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