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열린세상] ‘아니 그런데’ 화법 유감/최준식 이화여대 한국학과 교수

[열린세상] ‘아니 그런데’ 화법 유감/최준식 이화여대 한국학과 교수

입력 2018-10-14 22:40
업데이트 2018-10-14 23: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나는 항상 이 칼럼난에 무엇을 쓸까 생각하는데 가능하면 시사적인 것을 쓰려고 한다. 그런데 어떤 사건의 발생이 이 글을 쓰는 때와 맞지 않으면 할 수 없이 주제를 바꾸곤 했다. 예를 들어 지난번 국군의 날 행사 때 어린아이가 나와 ‘어메이징 그레이스’(Amazing Grace)라는 노래를 하는 것을 보고 그때 나는 어이가 없어 이에 대해 꼭 쓰고 싶었다.
최준식 이화여대 한국학과 교수
최준식 이화여대 한국학과 교수
이유는 간단했다. ‘어떻게 한국의 국가 행사에 외국 노래를 부르고 그것도 특정 종교의 성가를 부를 수 있겠는가’ 하는 것이었다. 그러면서 우리는 미국과 미국 문화에 지나치게 관대하다고 결론을 내리려 했다. 그런데 시간이 벌써 2주 이상 흘렀으니 시의성이 떨어진다. 그래서 내가 늘 생각하던 것으로 주제를 바꾸었다.

이 글의 제목을 본 사람들은 조금 의아했을 것이다. ‘아니 그런데’ 화법이라니 말이다. 나도 이 화법의 문제점을 최근에 와서야 발견했다. 우리 한국인들은 상대방과 대화할 때 ‘아니 그런데’라는 말을 먼저 하고 자기 말을 하는 경우가 많다. 많은 정도가 아니라 거의 그렇게 한다. 이게 아무것도 아닌 것 같지만, 이것은 우리의 대화 문화에 큰 문제가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무엇이 문제일까. 이렇게 대화를 시작하면 무조건 상대방의 말을 부정하고 들어가게 된다. 즉 ‘당신은 틀렸다’면서 대화가 진행된다. 상대방의 말을 이해하기도 전에 무조건 부정부터 하는 것이다. 이러니 한국인들은 당최 대화를 못한다는 말이 나온다. ‘100분 토론’이 아니라 ‘100분 우기기’가 됐다. 남의 말은 안 듣고 자기 말만 하는 것이다.

지금 한국 사회가 꼭 이렇다. 너무 편을 가른다. 특히 정치가 그렇다. 상대 당이 하는 것은 무조건 틀렸고 우리 당이 하는 것은 다 맞는다. 자기들이 여당이었을 때 찬동한 사안을 야당이 되면 반대한다. 왜냐하면 상대 당이 찬성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치인들만 탓하고 싶지는 않다.

사람들은 ‘한국은 정치만 잘되면 발전할 것’이라고 말하면서 모든 문제를 국회의원들에게 돌린다. 그러나 그 국회의원들은 우리가 뽑은 사람들이다. 그들은 한국의 사회문화를 따르고 있을 뿐이지 태생부터 모자라거나 나쁜 사람들이 아니다. 사회문화가 바뀌면 그들도 바뀐다. 그래서 국회의원을 탓할 게 아니라 ‘내’가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지를 곰곰이 생각해야 한다.

한국인들은 왜 이런 사회문화를 갖게 됐을까? 나는 그 근본 원인으로 유교와 성리학적 순혈주의를 든다. 특히 성리학이다. 성리학은 ‘리(理)’ 지상주의를 표방하면서 그 외의 모든 것은 틀렸다고 주장한다. 자신들만 진리를 가졌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래서 순혈이라고 한 것이다. 양명학도 틀렸고 불교도 아니다. 오로지 성리학 하는 우리 집단만이 홀로 정당하다. 조선 때 당쟁이 유독 심했던 이유가 여기서 기인한다.

물론 강한 배타성은 기독교 같은 종교에서도 발견된다. 그들도 유일신을 주장하기 때문에 진리를 독점한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기독교에는 용서나 사랑, 더 나아가 보편을 지향하는 개념이 있다. 그들에게는 자기 집단을 넘어서는 보편 공동체 개념이 있다. 이에 비해 유교나 성리학에는 그런 보편 공동체 개념이 없다. 오로지 우리 당, 우리 집안만이 최고라는 ‘우리 중심주의’만 있다.

이런 이유로 나는 항상 이 유교적인 가치관을 바꾸지 않으면 한국 사회는 개선되지 않을 거라고 주장해 왔다. ‘우리’ 당, ‘우리’ 고향, ‘우리’ 학교, ‘우리’ 아들 등 우리만 주장하는 소아적인 생각을 고쳐야 한다. 이렇게 우리만 소중하니 남이 무슨 말을 하든 ‘아니 그런데’라고 하면서 부정부터 하는 것이다.

말만 이렇게 하는 게 아니라 곧 상대방을 억압하고 비난한다. 그러니 대화는 날샌 것이 된다. 내 딴에는 이런 것을 고쳐 보겠다고 ‘아니 그런데’ 화법을 사용하지 않기로 마음을 먹기도 했다. ‘아니 그런데’가 아니라 ‘맞아 그런데’로 바꾸기로 한 것이다. 일단 상대방의 말을 긍정하자는 것이다. 여간 노력하지 않으면 다시 ‘아니 그런데’로 돌아가곤 했다. 그만큼 사회문화의 영향이 강한 것인데, 그래도 계속 시도해 보려 한다.
2018-10-15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