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폼페이오 ‘당일치기 방북’…비핵화·종전선언 접점 찾은 듯

폼페이오 ‘당일치기 방북’…비핵화·종전선언 접점 찾은 듯

한준규 기자
입력 2018-10-03 22:42
업데이트 2018-10-03 23: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7월 6일 3차 방북 이어 석 달여 만에 성사

김정은과 면담 일정까지 공개… 갈등 봉합
美국무부 “한·일과 종전선언 긴밀히 논의”
폼페이오, 2차 북·미회담 최종 조율 전망
회담장소 제3국 아닌 美안방 워싱턴 유력
10월말 회담→종전선언→金 서울행 기대
이미지 확대
오는 7일 네 번째 평양 방문길에 오르는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을 통해 북·미 비핵화 협상이 본궤도에 오르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2차 정상회담 등도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미 국무부는 2일(현지시간) 폼페이오 장관이 오는 7일 당일 일정으로 평양을 방문해 김 위원장을 면담할 것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은 지난 7월 6~7일 3차 방북 후 석 달여 만이다.

폼페이오 장관은 지난 8월 말 4차 방북에 나서기로 했다가 “북 비핵화 진전이 충분치 않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판단에 따라 보류됐었다. 이번 방북은 그 자체만으로도 ‘일정한 진전’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헤더 나워트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폼페이오 장관이 1년도 안 되는 기간에 4차례의 방북에 나서는 것은 (북·미 협상의) 진전과 모멘텀을 보여 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면서 “갈 길이 멀지만 이번 회담에서 계속해서 다음 단계로 (나아가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당일치기 방북’, ‘김 위원장과의 면담’의 사전 예고도 눈에 띈다. ‘빈손 방북’ 논란이 있었던 3차 방북 때와 달리 김 위원장과의 면담 일정까지 공개한 건 북·미 양측이 비핵화와 상응 조치에 대해 상당 수준의 의견 접근이 이뤄졌음을 시사하는 대목으로 해석된다.

또 당일치기, 그것도 반나절 일정으로 4차 방북이 이뤄진다는 것도 북·미의 비핵화와 종전선언의 ‘선후’ 갈등이 어느 정도 봉합됐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트럼프 행정부의 변화된 기류도 감지된다. 나워트 대변인은 그동안 ‘선 비핵화’ 조치를 내세우며 미온적이었던 종전선언에 대해 “우리는 (종전선언에 대해) 한국, 일본과 긴밀히 조율하고 있다”면서 “우리가 이번 방문 때 그들과 만나길 고대한다”며 묘한 여운을 남겼다.

이번 방북을 통해 세 번째 회동하게 되는 김정은-폼페이오의 만남을 통해 2차 북·미 정상회담이 조율될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이달 말 북·미 정상들이 담판에 나설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미 북·미가 정상회담 개최 경험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준비도 1차 시기보다 빨라질 수 있는 데다 폼페이오 장관의 4차 방북이 예상보다 상당히 앞당겨졌다는 점도 오는 11월 6일 중간선거 이전 개최설에 무게를 싣고 있다.

여러 채널에서 개최 장소에 대한 전망도 흘러나온다. 일단 싱가포르 등 ‘제3국’은 배제되는 기류가 짙다. 트럼프 대통령과 참모들은 북한의 평양이나 판문점보다는 미국의 수도인 워싱턴DC를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 조야 안팎에서 북한의 비핵화 의지에 대한 의구심이 여전히 크다는 점도 장소 선정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이 점에서 평양보다는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에게 보여 줄 거리가 많고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백악관’이 더 꼽힌다. 북한으로서도 정상국가의 이미지를 강화하는 측면과 북·미 이벤트의 주목도를 더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워싱턴의 한 외교 소식통은 “10월 하순 2차 북·미 정상회담→종전선언→연내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으로 정치적 빅 이벤트가 이어질 가능성이 적지 않다”면서 “미국과 어느 정도 관계 회복이 이뤄지고 서울 답방이 이뤄져야 북한도 경제 개발이라는 성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내다봤다.

워싱턴 한준규 특파원 hihi@seoul.co.kr
2018-10-04 5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