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성악 전공 김정숙·가수 출신 리설주… 남북 퍼스트레이디 첫 평양 회동

성악 전공 김정숙·가수 출신 리설주… 남북 퍼스트레이디 첫 평양 회동

조용철 기자
입력 2018-09-17 22:18
업데이트 2018-09-18 00: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아동병원·음악종합대 등 방문 예정…오·만찬 포함 세 차례 이상 만날 듯

“미래에는 번영만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4·27 정상회담 당시 문재인 대통령 부인 김정숙 여사)

“남편께서 문 대통령님과 함께 진실하고 좋은 이야기도 많이 나누고 회담도 잘됐다고 하셔서 정말 기뻤습니다.”(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부인 리설주 여사)
문재인 대통령의 부인 김정숙(오른쪽) 여사가 지난 4월 판문점 남북 정상회담 만찬에 참석하고자 만찬장인 판문점 평화의집에 도착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부인 리설주(왼쪽) 여사와 반갑게 이야기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의 부인 김정숙(오른쪽) 여사가 지난 4월 판문점 남북 정상회담 만찬에 참석하고자 만찬장인 판문점 평화의집에 도착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부인 리설주(왼쪽) 여사와 반갑게 이야기하고 있다. 연합뉴스
18일부터 20일까지 열리는 평양 남북 정상회담에서는 김정숙 여사와 리설주 여사의 ‘퍼스트레이디’ 외교도 관심사 중 하나다. 그동안 남북 퍼스트레이디가 평양에서 만난 전례가 없기 때문이다.

실제 2000년, 2007년 정상회담 때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부인이 모습을 드러내지 않아 이희호 여사와 권양숙 여사는 모든 일정을 ‘카운터파트’ 없이 북한 관계자와 소화했다.

그러나 리 여사는 지난 4월 남북 정상회담은 물론 북·중 정상회담에도 동행하는 등 퍼스트레이디로서 공식 활동에 빠지지 않고 참여했다. 김 여사와 리 여사가 판문점 회담 당시 손을 잡고 귓속말을 나누는 등 친밀한 모습을 보인 것도 두 사람의 재회를 기대하게 하는 요소다.

청와대가 17일 공개한 김 여사의 공식 일정을 보면 한 차례 이상 외부행사에 동행할 가능성이 크다. 두 정상 내외가 함께 하는 오·만찬 일정 등을 감안하면 세 차례 이상 만남을 가질 것으로 보인다. 우선 방북 첫날인 18일 김 여사는 정상회담이 진행되는 동안 평양 시내에 있는 옥류 아동병원과 김원균명칭 음악종합대학을 방문할 예정이다. 김 여사와 리 여사 모두 여성이자 어머니라는 공통분모가 있는 만큼 자연스럽게 공감대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장소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어지는 음악종합대학 참관 일정은 성악과 출신 김 여사와 가수 출신 리 여사의 ‘케미’(궁합)가 가장 잘 발휘될 수 있는 행사다. 김 여사는 문 대통령과 결혼하기 전까지 서울시립합창단원으로 활동했고 리 여사는 북한 은하수관현악단에서 독창가수로 이름을 날렸다.

특히 리 여사가 김 위원장과 결혼한 후 삼지연관현악단 창설에 관여하는 등 음악 분야에 대한 관심이 높아 동행할 경우 북한 내 음악교육 상황에 대한 폭넓은 대화가 예상된다. 김원균명칭 음악종합대학은 북한 최고의 음악 분야 종합교육기관으로 북한의 유명 음악가 대부분이 이곳 출신이다. 김원균은 북한 공식행사에서 빠지지 않는 ‘애국가’와 ‘김일성 장군의 노래’를 만든 작곡가다.

이튿날 김 여사가 찾는 만경대학생소년궁전은 예체능 교육기관으로 북한 청소년의 방과후 활동을 책임지는 곳이다. 2000년 김대중 전 대통령도 이 여사와 함께 만경대학생소년궁전을 방문할 만큼 외국 손님이 주로 찾는 북한 내 명소 중 하나다.

2007년 권 여사는 독자적인 일정을 네 차례 소화했다. 북한 최고의 박물관인 조선중앙역사박물관과 의학연구기관인 고려의학과학원을 방문했고 당시 북한 여성단체 수장으로 불린 박순희 민주여성동맹 중앙위원회 위원장 등 여성 지도자 11명과 별도 회의를 갖기도 했다.

앞서 이 여사도 2000년 북측 여성 지도자를 만났지만 당시에는 인민문화궁전이 장소로 제공됐다. 이 밖에 이 여사는 평양 시내 창광유치원을 방문하고 이화여고 시절 은사와 만나는 일정을 소화했다.

조용철 기자 cyc0305@seoul.co.kr
2018-09-18 5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