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임종석이 직접 꼽은 평양 남북정상회담 포인트 3가지

임종석이 직접 꼽은 평양 남북정상회담 포인트 3가지

오달란 기자
오달란 기자
입력 2018-09-17 13:56
업데이트 2018-09-17 13: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17일 서울 동대문구 DDP에 마련된 남죽정삼회담 프레스센터에서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이 브리핑을 진행하고 있다. 2018.9.17  박지환기자 popocar@seoul.co.kr
17일 서울 동대문구 DDP에 마련된 남죽정삼회담 프레스센터에서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이 브리핑을 진행하고 있다. 2018.9.17
박지환기자 popocar@seoul.co.kr
18일부터 2박 3일 진행될 2018 평양 남북정상회담은 과거 어떤 남북회담보다도 특별한 의미를 지닐 것으로 관측된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만나는 시점과 횟수, 생중계 여부 등 형식은 물론 회담 테이블에 놓일 의제까지 어느 때보다 진전되고 실질적인 대화가 있을 것이라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은 17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 마련된 프레스센터에서 브리핑을 열고 본인이 생각하는 이번 평양 정상회담의 특징 3가지를 언급했다.

임 실장은 첫 번째로 정상회담의 주요 일정이 실시간으로 전파를 타고 전세계로 중계되는 점에 주목했다.

그는 “제가 알기로 평양에서 열린 어떤 행사도 생방송으로 진행된 적이 없었던 것으로 안다”며 “저희가 (생중계를 북측에) 제안할 때도 받아들여질 것으로 전혀 기대하지 못했다”며 의미를 부여했다.

임 실장은 두 정상이 2박 3일 일정 중 당장 첫날부터 대화에 돌입하는 것도 종전과는 다른 형식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번 정상회담은 정상 간의 직접적이고 실질적인 대화에 무게를 실었다”며 “2000년(고 김대중 전 대통령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평양 정상회담), 2007년(고 노무현 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평양 정상회담)과 비교해서 말씀드리면 그 때는 두 번 다 첫날은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이 회담을 하고 둘째 날 김정일 위원장과 회담을 했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만남은 지난 4·27 판문점 회담, 5·26 깜짝 회담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다. 그런 만큼 일체의 형식적 절차를 걷어버리고 첫날부터 두 정상이 직접 만나 대화의 폭을 넓히고 속도를 높이겠다는 뜻이다.
이미지 확대
17일 서울 동대문구 DDP에 마련된 남죽정삼회담 프레스센터에서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이 브리핑을 마치고 기자들의 질문을 받고 있다. 2018.9.17  박지환기자 popocar@seoul.co.kr
17일 서울 동대문구 DDP에 마련된 남죽정삼회담 프레스센터에서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이 브리핑을 마치고 기자들의 질문을 받고 있다. 2018.9.17
박지환기자 popocar@seoul.co.kr
임 실장이 꼽은 세 번째 관전 포인트는 의제에 비핵화가 들어있다는 것이다. 임 실장은 “과거 남북 간에는 비핵화가 특히 정상 간 의제로 올라온 적이 없었다”며 “2000년 정상회담 때는 비핵화 문제가 이렇게 불거지기 전이었고, 2007년 노 전 대통령의 방북은 이미 6자회담을 통해 비핵화가 합의된 이후였다”고 설명했다.

이어 임 실장은 “이번에는 비핵화라는 무거운 의제가 정상회담을 누르고 있다”며 “이 대목이 이번 회담에 우리가 매우 조심스럽고 어떤 낙관적 전망도 하기 어려운 점”이라고 말했다.

불과 얼마 전 까지만 해도 비핵화 논의는 북미 간의 의제이고, 한국이 비핵화를 거론하는 것에 대해 북한도, 미국도 달가워하지 않았지만 최근 들어 문 대통령이 북미 비핵화 협상의 중재자로 부각되면서 양상이 바뀌었다.

임 실장은 “두 정상이 얼마나 진솔한 대화를 하느냐에 따라 비핵화의 구체적 진전에 대한 합의가 나올 지, 합의문이 나올 지, 구두합의가 이뤄질 지 등 모든 부분이 블랭크(blank·공백)”라고 말했다.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