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김정은 ‘핵신고 먼저’ 운 띄웠나… 트럼프와 10월 재회 가능성

김정은 ‘핵신고 먼저’ 운 띄웠나… 트럼프와 10월 재회 가능성

입력 2018-09-11 23:12
업데이트 2018-09-12 03: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차 북·미 정상회담 언제 어디서 열리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2차 정상회담 추진이 가시화하면서 시기와 장소, 의제에 관심이 쏠린다.
김정은(왼쪽)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6월 12일 싱가포르 센토사섬 카펠라 호텔에서 정상회담을 마치고 공동 합의문에 서명한 뒤 악수를 하고 있는 모습. AP 연합뉴스
김정은(왼쪽)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6월 12일 싱가포르 센토사섬 카펠라 호텔에서 정상회담을 마치고 공동 합의문에 서명한 뒤 악수를 하고 있는 모습. AP 연합뉴스
세라 허커비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은 10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김 위원장의 2차 정상회담 요청 사실을 전하면서 “2차 정상회담을 위한 대화는 지금 진행 중”이라며 북·미가 물밑 접촉에 나섰음을 시사했다. 샌더스 대변인은 그러나 구체적인 장소나 시기는 아직 정해진 것이 없다고 덧붙였다.

2차 북·미 정상회담 개최는 사실상 의제 조율에 달렸다. 그동안 북·미는 핵신고와 종전선언의 선후 관계를 놓고 제자리걸음을 했다. 이를 감안한다면 김 위원장이 이번 네 번째 친서에서 ‘선 종전선언’ 주장에서 한발 물러나 ‘선 핵신고’에 대한 운을 띄웠을 가능성이 크다. 트럼프 대통령도 백악관의 난맥상을 담은 밥 우드워드의 신간 ‘공포: 백악관 안의 트럼프’ 출간과 뉴욕타임스의 ‘백악관의 레지스탕스’ 기고 파문 등 대형 악재를 돌파하기 위해 김 위원장의 2차 정상회담 러브콜에 화답한 것으로 해석된다.

외교가는 북·미 협상 시나리오를 ▲북한의 핵신고 구두약속 후 종전선언 ▲핵시설·핵물질·핵탄두 등 단계적 신고와 초기 신고를 담보로 종전선언 ▲종전선언과 핵신고의 동시 이행 등 3가지로 예상하고 있다. 김준형 한동대 교수는 “가장 이상적인 순서는 북한이 평양 남북 정상회담을 통해 핵신고 목록 제출을 확약하고, 종전선언을 한 뒤 북측이 약속한 핵신고 명단을 제출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개최 시기는 일단 10월 중순쯤으로 전망된다. 취소됐던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의 4차 방북이 오는 18~20일 남북 정상회담 전에 이뤄진다면 이달 하순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유엔총회를 계기로 2차 북·미 정상회담과 종전선언 등이 이어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지만 물리적으로 쉽지 않다는 것이 워싱턴 분위기다.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도 이날 열린 한 행사에서 “김 위원장이 유엔총회에 올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고 언급했다.

워싱턴 정가 일각에서는 남북 정상회담과 폼페이오 장관의 4차 방북 등으로 북한의 비핵화 성과가 충분히 확인된다면 트럼프 대통령이 11월 중간선거 전인 10월 중순쯤 백악관에서 김 위원장과 역사적 재회의 악수를 하는 ‘초대형 이벤트’를 열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북·미 정상회담 성과를 극대화하는 전략으로 중간선거까지 ‘북풍’을 이어 갈 수 있다는 것이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미국은 11월 중간선거 전에 여는 것이 정치적으로 바람직하고 북한도 빠를수록 좋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대사는 이날 서울 마포구 극동방송에서 열린 ‘극동포럼’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이 (6·12 정상회담 때) 싱가포르에서 한 약속을 지킬 것이라는 믿음, 그때 한 악수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있다”면서 “결과가 어떻게 될지 모르나 희망을 품어도 좋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김 위원장이 경호상 문제로 워싱턴 방문을 꺼릴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정상 경호나 종전선언의 상징성, 남·북·미나 남·북·미·중 정상이 쉽게 모일 수 있는 판문점이 대안으로 거론된다. 트럼프 대통령의 예측 불허 성격을 감안한다면 평양 전격 방문 가능성도 낮지만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는 의견이 나온다.

워싱턴 한준규 특파원 hihi@seoul.co.kr

서울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2018-09-12 3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