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족대의 추억과 빌렌도르프의 비너스

족대의 추억과 빌렌도르프의 비너스

입력 2018-09-11 16:52
업데이트 2018-09-11 16: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한용의 구석기 통신]

어린 시절 족대(혹은 반두)를 둘러메고 동네 개울가에서 송사리라도 잡아 본 경험이 있는 분들은 물고기 잡기가 여간 쉽지 않다는 것을 잘 아실 것이다. 첨벙대면서 물고기를 몰아 기껏 족대를 들어 올려 보면 물고기는 다 도망가고 그물에는 돌멩이만 몇 개 들어 있는 경우가 태반이었다.

진화의 생존경쟁에서 인류가 선택한 전략은 ‘무엇이든 먹는다’였다. 지금 생각해 보면 우리 조상이 잡식의 길로 들어선 건 참 다행이다. 만일 초식을 선택했다면 가방 가득 풀을 싸서 다니면서 온종일 질겅질겅 씹어대야만 했을지도 모를 일이다. 잡식을 택한 인류에게 얕은 물속에 들어가 손만 뻗으면 잡을 수 있는 조개는 매력적인 식재료였다. 조개는 훌륭한 영양공급원이었고 맛도 좋았다.

우리 사람이 어떻게 두 발로 걷게 되었는지를 설명하는 수많은 이론 중에 소위 ‘수변 적응설’이 있다. 다름 아닌 이 조개를 잡기 위해 들어간 물속에서는 부력에 의해 허리를 쭉 펴고 일어서기가 보다 쉬웠고, 물속에서 두 발로 똑바로 서게 된 인류는 오랜 시간이 흘러 육지에서도 두 발로 걷게 되었다는 것인데 제법 그럴듯해 보인다.

어쨌든 조개를 잡으러 물속으로 들어갔던 인류는 자연스럽게 물고기에게도 눈독을 들였을 것이다. 문제는 물고기를 맨손으로 잡기는 거의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불가능을 가능하게 하는 게 우리 인류의 주특기가 아니던가. 그물 짜는 기술을 익힌 구석기 사람들은 촘촘한 그물로 물고기를 잡았다. 그물을 언제부터 만들기 시작했는지 확실하지는 않지만, 후기 구석기시대 예술품으로 유명한 비너스상에 그물망 같은 모자나 옷의 흔적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적어도 2만년 전후에는 충분히 고기 잡는 그물을 짤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미지 확대
빌렌도르프의 비너스, 구석기의 비너스라 부른다.
빌렌도르프의 비너스, 구석기의 비너스라 부른다.
다시 앞의 족대로 돌아가 보자. 족대의 그물 밑부분에는 개울 바닥에 밀착시키기 위해 무게감이 있는 추가 쪼르르 달렸다. 이게 바로 그물추(어망추)다. 고고학 유적에서 이 그물추가 나오면 그곳에 살았던 사람들이 물고기를 잡아먹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유난히 더웠던 이번 여름 강원도 정선의 매둔동굴에서 연세대 박물관 고고학조사단에 의해 중요한 유물이 발견되었다. 납작한 자갈돌의 양끝을 모룻돌 위에 올려놓고 두드려 깨서 만든 그물추 여러 점이 작은 물고기등뼈와 함께 발굴된 것이다. 구석기시대는 수렵과 채집뿐만 아니라 어로도 중요한 생계수단이었다는 것을 보여 주는 유물이다. 놀라운 건 조사단이 밝힌 이 그물추의 연대가 무려 2만 9000년 전의 후기구석기시대라는 점이다. 지금까지 발견된 그물추 중에서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시기의 것이라고 한다.

사실 구석기 비너스 ‘빌렌도르프의 비너스’가 쓴 그물 모자를 상기해 보면 그리 놀라운 연대도 아니다. 이미 수만 년 전부터 그물을 짜고 물고기를 잡던 사람들이 살았던 이 땅에 이제는 족대 하나 드리울 마땅한 개울조차 제대로 남아 있지 않다는 것이 오히려 놀라운 일이다.

글:이한용 전곡선사박물관장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