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작년 합계출산율 1.05명·출생아수 35만명…사상 최저

작년 합계출산율 1.05명·출생아수 35만명…사상 최저

강경민 기자
입력 2018-08-22 13:40
업데이트 2018-08-22 14: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5세 이상 고령산모 29.4%…결혼후 첫째 아이 출산시기 늦어져출생아 중 다태아 3.9%…20년 만에 2.8배 증가전국 출산율 서울 종로 0.65명 최저·서초구 산모 33.9세 최고령

이미지 확대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태어난 아기가 35만명대로 추락하면서 합계출산율이 사상 최저인 1.05명으로 떨어졌다.

여성들의 출산연령이 높아지면서 아이를 낳는 여성 중 35세 이상이 3명 중 1명 수준으로 증가했고, 결혼 후 첫째 아이를 출산하는 시기도 늦춰지고 있다.

통계청이 22일 발표한 ‘2017년 출생통계(확정)’를 보면 작년 출생아 수는 35만7천800명으로 전년 40만6천200명보다 4만8천500명(11.9%) 감소해 1970년 통계작성이 시작된 이후 최저수준으로 줄어들었다.

감소폭도 2001년(-12.5%) 이후 16년 만에 최대를 기록했다.

합계출산율은 1.05명으로 떨어졌다. 역시 전년 1.17명보다 0.12명(10.2%) 급감해 사상 최저를 기록했다.

합계출산율이 1.10명 이하로 떨어진 것은 2005년(1.08명) 이후 12년 만이다.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인구유지를 위해 필요한 합계출산율 2.1명의 절반 수준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5개 회원국 평균 1.68명을 크게 하회하는 것은 물론, 압도적인 꼴찌다.

인구 1천명당 출생아 수를 뜻하는 조(粗)출생률도 7.0명으로 전년보다 0.9명(11.4%) 줄어들었다.

여성 연령별 출산율을 보면 40세 이상을 제외한 전 연령대에서 감소했다.

여성인구 1천명당 출산율이 20대 후반(25∼29세) 47.9명, 30대 초반(30∼34세) 97.7명, 30대 후반(35∼39세)은 47.2명으로 전년보다 각각 8.5명(15.1%), 12.4명(11.3%), 1.5명(3.1%)씩 일제히 감소했다.

반면, 40대 초반(40∼44세)은 6.0명으로 전년보다 0.1명(1.7%) 늘어났다.

특히 주 출산연령인 30대 초반 출산율이 급감해 여성인구 1천명당 출산율이 처음으로 100명 아래로 추락했다.

평균 출산연령은 32.6세로 전년보다 0.2세 상승했다.

35세 이상 고령산모의 비중은 29.4%로 전년보다 3.0%포인트 높아졌다. 2007년 35세 이상 고령산모 비중이 13.1%였다는 점에 비춰보면 상승속도가 매우 빠르다.

저출산 현상이 계속되면서 첫째 아이 비중은 지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 첫째 아이 비중은 52.7%로 전년보다 0.2%포인트 늘었다. 첫째 아이 구성 비중은 2011년 51.0%를 기록한 이후 7년 연속 증가하고 있다.

결혼 후 2년 이내에 첫째 아이를 낳는 비율은 65.8%로 전년보다 2.3%포인트 감소했다. 반면 2∼3년 사이 첫째 아이를 낳는 비율은 23.5%로 1.2%포인트 증가했다.

여아 100명당 남아 수를 뜻하는 출생 성비는 106.3명으로 전년보다 1.3명 증가했다.

혼인 외 출생아 수는 7천명으로 전년보다 800명 줄었으며 출생아 중 비중은 전년과 같은 1.9%를 유지했다.

쌍둥이 등 동시에 두 명 이상이 함께 태어난 다태아는 총출생아 중 3.9%인 1만3천922명으로 전년보다 1천812명 줄었다. 다태아 구성비는 1997년에 비해 2.8배 증가했다.

다태아 산모의 평균 연령은 33.9세로 한 번에 한 명의 아이를 출산한 산모의 평균 연령보다 1.3세 많았다.

임신 기간 37주 미만 조산아 구성비는 7.6%로 2007년에 비해 약 1.5배 증가했다.

출생아 체중은 3.19kg으로 전년보다 0.01kg 감소했다.

17개 시도 모두 합계출산율이 전년보다 감소한 가운데, 합계출산율이 가장 높은 곳은 세종(1.67명)이었고 전남(1.33명), 제주(1.31명) 순이었다.

서울(0.84명), 부산(0.98명)의 합계출산율은 1명 이하로 추락했다.

산모의 평균 출산연령은 서울(33.3세)이 가장 높고, 충남(31.8세)이 가장 낮았다.

시군구별로 보면 합계출산율은 전남 해남군(2.10명)에서 가장 높았고 서울 종로구(0.65명)에서 가장 낮았다.

합계출산율이 대체출산율(2.1명, 현재 인구규모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수준)을 넘는 지역은 해남군이 유일했다.

상위 10순위 시군구의 출생아 수는 전체의 19.1%를 차지했다. 10순위 중 6곳은 경기 지역이었다.

전국에서 산모의 출산연령이 가장 높은 시군구는 서울 서초구(33.92세), 가장 낮은 시군구는 강원 화천군과 철원군(30.67세), 강원 양구군(30.65세)으로, 30세보다 낮은 곳은 단 한 곳도 없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