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기고] ‘데이터 금광’ 케이블TV/신성철 CJ헬로 데이터사이언스 팀장

[기고] ‘데이터 금광’ 케이블TV/신성철 CJ헬로 데이터사이언스 팀장

입력 2018-08-21 22:38
업데이트 2018-08-22 10: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95년 케이블TV 방송이 막을 올리며 시청자는 입맛에 따라 TV 프로그램을 골라 볼 수 있게 됐다. 2002년 위성TV, 2008년 IPTV가 시작되면서 유료 방송업계는 더욱 풍부한 콘텐츠와 기술로 경쟁해 왔다. 현재 우리나라 유료 방송은 가입자 3100만명, 매출 5조 6000억원의 거대 시장으로 성장했다. 이제 유료 방송업계는 ‘4차 산업혁명의 놀이터’로 불리며 인공지능(AI),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신기술의 각축전이 펼쳐지는 장이 됐다.
신성철 CJ헬로 데이터사이언스 팀장
신성철 CJ헬로 데이터사이언스 팀장
한편으로 유료 방송업계는 가입자 포화 상태로 맞은 성장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주문형비디오 서비스(VOD)를 통한 매출 증대, 신수종 사업 발굴·확대를 꾀하고 있다. 특히 데이터 알고리즘 및 분석 기술은 필수적이다. 가입자의 방송 시청·이용 행태를 파악할 수 있는 디지털방송 셋톱박스의 접속기록을 ‘핵심 데이터’로 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는 ‘하둡’(Hadoop·데이터적재 공간) 등이 바탕이 된다. 이 공간에서 매일 4억 2000만 건의 데이터가 처리된다. 이런 기술은 가입자 기반 유료 방송 사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가능케 하고 4차 산업혁명과 케이블TV 산업의 유기적 연결을 도와주는 마중물이 될 것이다.

이용자 시청 패턴이 기록된 빅데이터는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유료 방송이 새로운 성장 동력을 발굴하고 인접 사업으로 확대되는 데 꼭 필요하다. 고객의 취향이 담긴 시청 데이터는 개인별 취향을 사전에 파악한 맞춤형 컨설팅을 도와준다. 또 기존 시청률 조사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도 긴요하게 쓰인다.

그러나 한 가지 걸림돌은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된 규제다. 우리나라는 개인정보에 대한 개념이 지나치게 광범위한데 임의적이어서, 데이터를 활용한 신사업 진입에 장벽이 되고 있다. 하지만 카드, 통신, 물류, 콘텐츠, 커머스 사업 과정에 담긴 각종 데이터와 방송 시청 데이터 간의 이종 결합이 가능해질 때 생겨나는 산업적 시너지는 엄청날 것이다.

19세기만 해도 석유는 그저 ‘검은 물’에 지나지 않았다. 언제나 존재했지만 어떻게 활용할지는 누구도 알지 못했다. 매일 수억 건의 시청 데이터가 오가는 케이블TV 역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새로운 자원이다. 이를 활용하고 진화시킬 제도와 관련 법규가 절실히 필요하다.

2018-08-22 33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위기 당신의 생각은?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발표 후 의료계와 강대강 대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료인력 공백이 장기화하면서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의료공백 위기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어떤가요.
의료계 책임이다
정부 책임이다
의료계와 정부 모두 책임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