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윤창수 베이징 특파원 항일투쟁 발자취를 찾다] ‘빛난 전투’ 조선의용대 주둔터 잡초만 무성

[윤창수 베이징 특파원 항일투쟁 발자취를 찾다] ‘빛난 전투’ 조선의용대 주둔터 잡초만 무성

윤창수 기자
윤창수 기자
입력 2018-08-13 22:50
업데이트 2018-08-14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상>中타이항산맥 전투

내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앞두고 중국 내 연구자들과 동포들 사이에서 독립운동의 자취들이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광복절을 앞둔 지난 11~12일 베이징에서 출발한 역사탐방단은 우리 독립운동사에서 첫 정규군으로 기록된 조선의용대가 주둔하며 일제와 전투를 벌였던 허베이성과 산시성에 걸쳐 있는 타이항산맥을 찾았다.
이미지 확대
중국 산시성 진중시 쭤취안현 상우촌에 세워진 조선의용군 무명열사의 묘가 지난 12일 고국이 있는 동쪽을 향해 자리잡고 있다.
중국 산시성 진중시 쭤취안현 상우촌에 세워진 조선의용군 무명열사의 묘가 지난 12일 고국이 있는 동쪽을 향해 자리잡고 있다.
조선의용대를 기억하는 현지 중국인들은 그들은 중국군과 대등하게 소통하며 일본 제국주의 침략에 맹렬히 맞서 싸웠다고 그들의 빛나는 활약을 탐방단에 전했다.

경남 밀양 출신 약산 김원봉이 1938년 창설한 조선의용대는 독자적 전투 끝에 광복군에 편입했지만 이들 중 일부가 북한으로 가면서 의문부호로 남았다. 산시성 진중(晉中)시 쭤취안(左權)현 상우(上武)촌 마을 주민들은 해마다 조상의 묘를 찾는 청명절이면 이름 모를 조선인 의용대원을 위한 제를 올린다. 이곳에는 타이항산 십자령 전투 중에 사망한 조선의용대의 진광화, 윤세주가 처음 묻힌 곳과 함께 조선의용대 무명용사의 묘가 있다.

쭤취안현 윈터우디(云頭底)촌에는 일본어, 중국어 등 3개 언어에 능통해 선전전에 투입됐던 조선의용대의 한글 격문이 남아 있다. 한글을 모르는 주민들이 그림을 그리듯 페인트칠을 하며 보존해 온 70여년 묵은 기록이다.

한국 정부가 2004년 세운 ‘조선의용군 열사 기념관’은 공산당의 유적지를 찾는 ‘홍색 관광’ 열기로 하루에 한 팀 이상 방문객이 찾는다. 하지만 대부분의 조선의용대 주둔터는 잡풀이 무성한 폐허로 방치되어 함께 피 흘렸던 중국 공산당의 팔로군 기념관과 쓸쓸하게 대비된다. 상룽성(尙榮生) 조선의용군기념관장은 “조선의용대의 역사를 의도적으로 차단하거나 폄하해서는 안 된다. 그들이 있어야만 한국의 독립운동사를 완성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글 사진 타이항 윤창수 특파원 geo@seoul.co.kr

2018-08-14 1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