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한국 승무원은 왜 짧은 치마 입고 무릎을 굽혀야만 하나요”

“한국 승무원은 왜 짧은 치마 입고 무릎을 굽혀야만 하나요”

조희선 기자
조희선 기자
입력 2018-08-10 21:41
업데이트 2018-08-10 23: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첫 장편소설 ‘미스 플라이트’ 낸 소설가 박민정
“승무원에 대한 왜곡된 이미지 바뀌었으면”
이미지 확대
2009년 만 스물 넷의 나이로 등단한 소설가 박민정(33)은 현재 한국 문단에서 뜨거운 작가로 꼽힌다. 김준성문학상, 문지문학상, 젊은작가상 대상을 수상하며 주목받는 작가로 떠오른 그는 뚜렷한 문제 의식으로 한국 사회에 만연한 혐오와 폭력을 날카롭게 조망하는 ‘신중한 관찰자’라는 평가를 받는다. 최근 발표한 첫 장편 ‘미스 플라이트’(민음사)에서 한국의 몰상식한 현실을 바라보는 작가의 관찰력은 한층 치밀해졌다.
이미지 확대
작품의 주인공인 항공사 5년차 승무원 유나는 기내 탑승객의 습관적인 성희롱과 물리적 폭력, 회사의 부당한 압박에 내몰린다. 그러다 조종사 노조 간부인 유부남 부기장과 가깝게 지낸다는 이유로 불륜 스캔들의 주인공으로 몰리면서 결국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전직 공군 대령 출신으로, 방산 비리 사건에 연루돼 불명예 전역한 유나의 아버지 정근, 과거 정근의 개인 운전병이자 유나와 같은 항공사의 부기장이 된 영훈의 이야기가 또 다른 축으로 등장한다.

최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만난 박 작가는 “처음 소설을 집필할 때 객실 승무원과 조종사의 위치와 관계를 이야기로 풀고 싶다는 생각을 먼저 떠올렸다”면서 “두 인물 간의 인연이 끈질기고 집요하게 이어지는 가운데 한국 사회의 부당하고 불편한 부분이 개입되어 가는 과정을 그리고 싶었다”고 말했다.

실제로 항공사 승무원으로 일하고 있는 친구나 친척들의 삶을 가까이에서 지켜본 것도 책을 집필하는 계기가 됐다.

“승무원은 사실 안전 요원이잖아요. 구난 상황에서 승객들에게 지시를 내리고 대피시키려면 굉장한 카리스마가 있어야 하고요. 유독 우리나라에서는 승무원을 ‘서비스를 제공하는 용모단정한 사람’이라고 인식하는 것 같아요. 짧은 치마를 입은 채 손님들 앞에서 무릎을 굽혀야만 하는 시스템은 폭력적이지 않나요. 머리도 꽉 묶은 탓에 여자 승무원 대부분 탈모에 시달린다고 하더라고요. 유나가 수영을 배우는 에피소드를 책 속에서 언급한 것도 예쁜 얼굴보다 건강한 신체가 승무원의 중요한 조건이라는 점을 짚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승무원 개인에게 면세품 판매 실적을 강요하고, 같은 팀원의 생활을 감시하게 하는 ‘엑스맨 제도’ 등 항공사의 ‘갑질’ 행태를 보고 있자면 최근 세간을 시끄럽게 한 국내 대표 항공사 오너 일가의 추태가 자연스럽게 겹친다.

“항공사 문제는 예전부터 있어왔는데 신기하게 제가 이 책을 낼 즈음 관련 문제들에 대한 기사가 많이 나오더라고요. 저는 문제의 근본부터 바뀌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해왔기 때문에 미디어를 통해 이슈들이 가시화되는 건 좋은 것 같아요. 이런 계기들을 통해 승무원에 대한 왜곡된 이미지와 고정관념이 바뀌었으면 좋겠어요.”

자식 세대와 부모 세대 간의 갈등을 통해 한국의 다양한 초상을 그려온 작가는 앞으로도 가족 서사가 담긴 작품들을 지속적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저는 가족 이야기를 많이 쓰는 것 같아요. 앞으로 쓸 소설들도 가족 이야기가 많고요. 어렸을 때부터 어른들끼리 몰래 가족의 비밀을 이야기하시면 저는 가까이에서 다 들었어요(웃음). 그러다 7살때쯤 저희 가족의 큰 비밀을 알게 됐죠. 나중에 사회 생활을 하다보니 그때 저희 가족이 겪은 문제나 가족 안에서 형성된 권력 관계들이 역사적으로, 사회적으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가족 생활이 사회 생활의 축소판인 거죠. 이때 제가 겪은 경험도 곧 소설에서 다뤄보려고 합니다.”

학창 시절 자신의 진로를 소설가로 정한 이후 그 어떤 길도 생각해보지 않았다는 박 작가는 앞으로 세상에 내놓을 ‘엄청난 이야기’가 많다고 했다.

“제가 가지고 있는 이야기들이 생각보다 엄청난 것들이 많아요(웃음). 재산은 많은데 이 재산을 제가 잘 엮어야 좋은 이야기가 되겠죠. 지면이 주어진다면 제가 그동안 세상에 하고 싶은 이야기들을 계속 발표하고 싶어요. 다만 제가 의식이 날카롭지 않은 상태에서 지면만 확보하고 있다면 무척 위험한 일이죠. 잘못되거나 비겁한 이야기를 쓰는 순간 저 스스로 그만 쓰도록 결단을 내릴 수 있는 염결한 작가가 되고 싶습니다. 일상적으로 쓰는 행복을 유지하면서 에너지를 잃지 않는 작가가 된다면 더 바랄 것이 없겠죠.”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