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8월말·9월말·10월 중순?… 남북정상회담, 비핵화 속도에 달렸다

8월말·9월말·10월 중순?… 남북정상회담, 비핵화 속도에 달렸다

임일영 기자
임일영 기자
입력 2018-08-01 22:54
업데이트 2018-08-01 23: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文대통령 평양행, 의제·의전 준비 필요

靑 “8월말 회담? 北과 얘기한 적 없다”
전문가 “北노동당 창건일 이후 10월 적기”

김정은 9월 뉴욕 유엔총회 데뷔도 관심
협상 진전·종전선언 가닥땐 연설 가능성
참석하면 文대통령·트럼프와 3자 회담

남북 정상이 4·27 판문점선언에서 합의했던 문재인 대통령의 ‘올가을 평양 방문’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9월 유엔총회 참석 가능성 등 두 가지 ‘빅 이벤트’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남북 정상은 판문점선언에 ‘올가을’로 시기를 광범위하게 명문화했으며 막후 대화 과정에서는 ‘8월 말부터 10월까지’로 합의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8월 말, 즉 이달 말 문 대통령의 평양 방문 관측이 나오지만 현재 북·미 간 비핵화 협상 속도와 의전 문제 등을 감안하면 쉽지 않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문 대통령의 방북 준비는 판문점에서 열린 두 번의 정상회담과는 전혀 다르다. 한 달 안팎의 의제·의전·경호 등 실무 협상이 필요하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1일 “8월 말에 하려면 이미 물밑에서 상당한 수준의 조율이 진행 중이어야 하는데 아직 북한과 구체적 얘기가 오간 적도, 내부적으로 회의 한번 한 적이 없다”고 했다.

북한 정권 수립 70주년 기념일(9월 9일), 유엔총회(9월 18일~10월 1일) 등 빼곡한 일정을 감안하면 9월 말 또는 북한 노동당 창건기념일(10월 10일) 이후인 10월 중순을 3차 정상회담의 적기로 지목하는 전문가들이 좀더 많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3차 정상회담은 주고받을 ‘선물’이 있어야 한다”며 “문 대통령으로선 개성공단 재가동과 금강산 관광 재개일 테고, 김 위원장은 영변 핵단지 동결 등 진일보한 비핵화 조치를 내놓아야 하는데 결국 북·미 관계가 관건”이라고 했다.

하지만 8월 말 개최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어 보인다. 역으로 교착 상태를 타개하기 위한 동력 확보 차원에서 정상회담을 활용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일각에선 서훈 국정원장이 조만간 평양에 특사로 파견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당장 종전선언은 쉽지 않은 만큼 남북공동연락사무소 등 일시적 남북 접촉 부문의 경우 제재 예외를 미국으로부터 인정받아 북한을 설득하는 시나리오다.

김 위원장의 미국 뉴욕 유엔총회 참석 가능성과 관련, 자유아시아방송(RFA)은 31일(현지시간) 유엔 공보국의 ‘일반 토의 잠정 명단’을 입수해 북한의 기조연설자로 장관(Minister)급이 9월 29일 연설한다고 보도했다.

지난해 유엔총회 때와 마찬가지로 올해도 리용호 북한 외무상이 연설자로 나설 가능성이 크지만, 북·미 간 비핵화와 그에 상응한 평화체제 구축 논의가 순조롭게 이뤄질 경우 김 위원장이 대신 유엔총회에서 연설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도 있다.

RFA는 유엔총회 일반 토의 첫날인 9월 25일 회의 전반부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연설하며, 문 대통령은 9월 27일 회의 전반부에 14번째로 연설한다고 전했다. 만일 김 위원장이 뉴욕에 온다면 남·북·미 정상회담도 가능해지는 것이다.

그러나 홍민 통일연구원 연구위원은 “김 위원장의 유엔총회 참석은 종전선언 또는 그에 버금가는 미국의 조치가 있어야 가능하다”고 했다. 청와대 관계자도 “늦어도 9월 초까지 비핵화 협상과 종전선언의 가닥이 잡혀야 김 위원장의 참석이 가능할 것”이라고 했다.

반면 비핵화 협상이 좀 더디더라도 김 위원장이 정상국가의 면모를 과시하는 차원에서 유엔총회에 전격 참석할 것이라는 관측도 아예 없지는 않다.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8-08-02 5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