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문학, 여성, 사랑의 시대… 서랍 속에서 찾아낸 ‘박완서의 목소리’

문학, 여성, 사랑의 시대… 서랍 속에서 찾아낸 ‘박완서의 목소리’

조희선 기자
조희선 기자
입력 2018-07-31 20:52
업데이트 2018-07-31 21: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90년대 대담록 7편 묶은 ‘박완서의 말’…인간이자 작가로서의 삶 담담히 털어놔

이미지 확대
한국 문단의 ‘시들지 않는 거목’ 박완서(1931~2011) 작가의 육성을 느낄 수 있는 인터뷰 모음집이 나왔다. 신작 ‘박완서의 말’(마음산책)을 엮은 딸 호원숙 작가는 책 서문에서 “여기 엮은 인터뷰 기록들은 어머니 서재의 깊은 서랍 속에 있던 것들입니다. 어머니가 손수 스크랩하여 모아 놓으신 것들입니다. 그중에서 한 번도 출판되지 않은 것을 엮은 것입니다. 의도한 것은 아니지만 1990년대에 있었던 대담록의 모음입니다”라고 소개했다.

시인 고정희, 문학평론가 정효구와 김경수, 황도경, 소설가 공지영, 여성학자 오숙희, 문학평론가 권영민, 시인이자 수필가인 피천득과 나눈 대담 7편이 담겼다.

작가의 길을 열어 준 소설 ‘나목’을 비롯한 여러 작품에 대한 이야기, 화가 박수근과 월북 소설가 박노갑과의 인연, 신여성이 되기를 바란 어머니에게 이끌려 하게 된 서울 생활, 전쟁 때문에 멈췄던 대학 생활, 여자와 어머니 사이의 모순, 개인적 삶과 문학적 삶 사이의 간극 등 인간이자 작가로서 자신의 삶을 이끈 경험들에 대해 담담히 털어놓는다.

한국 여성들이 겪는 불평등과 모순에 대한 문제의식을 여러 작품에서 다뤄 온 만큼 인터뷰어들은 작가에게 페미니즘에 대한 질문을 많이 던진다. 이에 대해 작가는 “여성 문제를 소설화하는 일은 내게 중요하고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라고 말한다.

“문학이란 게 본래 그런 것 아니겠어요. 본질적으로 억압받는다든가 서러운 계층, 그늘에 가려진 층에 대한 애정을 쏟게 되는 게 당연한 것 아니겠어요. 내 경우 결혼 생활에서 상당한 대우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여자이기 때문에 태어나면서부터 당하게 되는 경험 이전의 문제의식이 없을 수 없지요.”

1990년 당시 “시대를 어떻게 보느냐”는 질문에 작가가 내놓은 통찰력 있는 대답은 30년 가까이 지난 지금도 충분히 새겨들을 만하다.

“궁극적으로 작가는 사랑이 있는 시대, 사랑이 있는 정치, 사랑이 있는 역사를 꿈꾸는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자고로 우리는 사랑이 있는 시대를 살아 본 적이 없어요. (중략) 진정한 의미에서 사랑을 회복하는 일, 사랑의 능력을 되찾는 일이 가장 중요하다고 봅니다. 진정한 해방의 세계란 과학도 지식도 이론도 아니고 ‘사랑의 힘’이라고 나는 믿고 있습니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2018-08-01 25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