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러시아 여성 라자로바가 본 ‘월드컵 이후 달라질 러시아’

러시아 여성 라자로바가 본 ‘월드컵 이후 달라질 러시아’

임병선 기자
입력 2018-07-15 12:21
업데이트 2018-07-15 12: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러시아월드컵이 개최국을 얼마나 변모시킬까? 속단할 수 없는 일이다. 다만 젊은 러시아인들이 뭔가 많은 것을 깨닫고 삶을 새로운 각도에서 보게 됐다고 영국 BBC 러시아 지국의 니나 라자로바가 강조했다. 그녀의 소견을 옮긴다.

공산주의의 몰락 이후 젊은 러시아인들은 모스크바를 코스모탈리탄들의 수도로 여기며 성장했다. 그러나 월드컵을 개최하면서 이처럼 활달하며 다채롭고 다문화적인 경험을 하게 될지에 대해선 아무런 (마음의) 준비를 하지 못했다.

러시아 국민의 70%는 여권이 없고 월드컵 경기가 열린 11개 도시를 찾은 외국인 팬들이 미친 영향은 각별하기만 했다. 러시아를 찾은 외국인 숫자는 글자 그대로 치솟았다. 모스크바도 완전 다른 도시인 것처럼 느껴졌고, 개최 도시 가운데 가장 작은 사란스크를 방문한 외래인은 200배로 급증했다.
영국 BBC 러시아 지부의 니나 라자로바가 모스크바 도심에서 자신을 지나치는 잉글랜드 축구팬들을 바라보고 있다. BBC 홈페이지
영국 BBC 러시아 지부의 니나 라자로바가 모스크바 도심에서 자신을 지나치는 잉글랜드 축구팬들을 바라보고 있다.
BBC 홈페이지
모스크바의 우리 대학 건물에는 커다란 아르헨티나 국기가 게양됐는데 난 그걸 보는 순간 무척 놀랐고 흥분됐다. 러시아에선 공공집회를 열려면 사전에 허가를 받아야 했다. 정부에 반대하는 집회를 계획한다면 늘상 안된다는 답을 들었다.

그러나 월드컵에 관한 한 달랐다. 개최 도시에서 월드컵에 반대하는 시위는 금지됐지만 경찰은 공공 장소에서의 음주와 파티, 과거 같으면 체포됐을 행위들을 눈감아줬다. 난민을 받지 않기로 악명 높은 이나라의 붉은 광장에서는 난민들의 축구 경기가 열렸다.

러시아인들도 다르게 행동하고 있다. (재현과 모방을 통해 되풀이돼 관습으로 굳어진 문화 행위를 의미하는) 인터넷 밈(meme) 가운데 가장 유명한 것으로 “러시아는 슬픈 이들의 나라”(Rossiya dlya grustnykh)가 있다.

그런데 월드컵 개막과 동시에 러시아인들은 고집스러운 면모를 던져버리고 새로운 기쁨의 감각을 발견했으며 밤샘 파티를 돕거나 맛보는 데 주저하지 않게 됐다. 러시아 대표팀이 (8강에 오르는) 기대 이상의 성과를 낸 것도 국가적으로 흥한 분위기를 만끽하게 만들었다.

내가 만난 40대 후반의 학교 교사는 이전에 경험하지 못한 기운과 에너지를 선사한 다채로운 환경을 맛보기 위해 매일 모스크바 도심을 찾는다고 털어놓았다. 이토록 러시아 현대사에서 가장 다문화적인 순간을 우리가 정치외교사적으로 가장 고립된 시기에 경험한다는 것은 역설로 들린다.

지난 5년 동안 러시아 언론은 최악이었고 우크라이나와 시리아 내전 개입과 미국 대통령 선거에 얽혀들었고, 영국에서의 스파이 독살 사건으로 온갖 부정적인 신문 제목들로 장식됐고 이 모두가 우리에게 영향을 미쳤다.
잉글랜드 팬이냐고? 아니다. 러시아 사마라의 젊은이들이 단지 “잉글랜드 축구를 좋아한다”는 이유만으로 유니언잭을 얼굴에 그려넣었다.
잉글랜드 팬이냐고? 아니다. 러시아 사마라의 젊은이들이 단지 “잉글랜드 축구를 좋아한다”는 이유만으로 유니언잭을 얼굴에 그려넣었다.
대회를 앞두고 사진작가인 내 친구는 영국 예술가들이 러시아인과 함께 작업하는 것에 대해 두려움을 가질까봐 조마조마하는 것을 봤다. 해서 난 그에게 “월드컵이 우리를 세계와 다시 연결시키는 데 도움이 되길 진짜 바란다”고 말했던 기억이 난다.

지난 몇달 동안 내가 만난 수십 명의 외국인 팬들 대부분은 러시아인은 회색빛이며 진지하고 차가운 사람이라고 여기고 있었다. 그랬던 그들이 막상 만나보니 멋지고 친절하고 마음이 열려 있고 재미있는 사람들이란 것을 깨닫고 놀라워했다.

월드컵이 막바지로 접어들면서 러시아는 하나의 국가로서 인간적인 면모를 되찾고 있는 것처럼 여겨진다. 이게 얼마나 중요한 일인지 여기에 옮기는 건 실로 어려운 일이다.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