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美 견제 속 더 가까워진 北·中

美 견제 속 더 가까워진 北·中

윤창수 기자
윤창수 기자
입력 2018-07-11 21:58
업데이트 2018-07-12 01: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北, 제재 완화·집권 안정 ‘노림수’­…中, 대북 영향력 과시 위한 제스처

이미지 확대
김정은·시진핑, 연이틀 만남 연합뉴스
김정은·시진핑, 연이틀 만남
연합뉴스
6·12 북·미 정상회담 전후로 이뤄진 세 차례 북·중 정상회담에 대한 한·미·중 3개국의 평가는 엇갈린다. 김정은(왼쪽) 북한 국무위원장의 지난 6월 세 번째 중국 방문에 대해 한국은 “중국의 긍정적 영향을 기대한다”고 했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시진핑(오른쪽) 국가주석이 부정적 영향을 끼치고 있다”며 우려했다. 중국은 한결같이 “한반도 비핵화에 긍정적 역할을 하겠다”고 강조하고 있다.

북·미 정상회담 전후로 김 위원장은 취임 7년 만에 첫 해외 방문으로 중국을 찾았고, 시 주석은 역사적인 ‘조(북)·중 친선’을 강조하며 극진하게 환대했다. 베이징 외교소식통은 11일 “국빈 방문은 임기 중 한 번이고 나머지는 모두 실무 방문인데 1차 비공식 방중 때 했던 사열식을 3차 방중 때도 연 것은 중국이 이례적인 잦은 방문에도 예우를 갖춰 북한을 대접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고 말했다.

정상회담을 계기로 지난해 대북 제재 이후 얼어붙었던 양국 관계는 밀착됐고 김 위원장은 싱가포르 방문 때 중국이 빌려준 에어차이나 전용기를 이용해 북한이 중국의 영향력 안에 있음을 세계에 알렸다. 북한은 특히 김 위원장 방중 때마다 다큐멘터리를 제작해 대대적인 국내 선전에 활용했다. 잦은 방중이 미국과의 비핵화 협상 과정에서 우위를 점하겠다는 전략일 뿐 아니라 국내 정치용 측면도 있다는 뜻이다. 중국이 북한의 뒤를 든든하게 봐 주고 있다는 점을 널리 알려 집권 안정에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김 위원장이 중국에 대북 제재 완화를 요구했으리라는 것은 지난달 28일 러시아와 중국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대북 제재 철회를 위한 언론성명을 제출했다가 시기상조라는 미국의 반대로 무산됐다는 사실을 통해 추측할 수 있다. 안보리 언론성명은 법적 구속력이 없지만 정식 발표하려면 안보리 전체 이사국의 동의가 필요하다.

지난 3월 1차 북·중 정상회담에서 양국은 소통 강화와 시 주석의 평양 답방을 약속했다. 장청강 주북한 중국대사 임시대행은 최근 평양에서 김명철 북한 외무성 조약국장과 이길호 영사국장을 만나 협력 확대 방안을 모색했다. 지난달 22일 중국 창춘에서 열린 대규모 박람회에 북한이 참가하는 등 북·중 간 경제교류도 가시화하고 있다. 북한 측이 답방을 원하는 북한 정부 수립일인 9월 9일을 즈음해 시 주석은 방북에 나서 한반도에 대한 영향력 과시와 중·미 무역전쟁 타개책 모색이라는 일석이조 효과를 극대화할 것으로 보인다.

베이징 윤창수 특파원 geo@seoul.co.kr
2018-07-12 6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