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미세먼지 때문에 ‘마스크, 렌즈세척액 생산’ 배 이상 늘었다

미세먼지 때문에 ‘마스크, 렌즈세척액 생산’ 배 이상 늘었다

민나리 기자
민나리 기자
입력 2018-07-11 14:49
업데이트 2018-07-11 14: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마스크·콘택트렌즈 세척액 생산 2배 이상 증가
의약외품 전체 생산실적은 25%가량 감소
미세먼지. 서울신문 DB
미세먼지. 서울신문 DB
미세먼지 여파로 보건용 마스크 등을 포함한 전체 마스크의 생산실적이 전년보다 2배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국내 의약외품 생산 실적이 24.5% 감소한 것과는 대조된다.

11일 식품의약안전처는 지난해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 등 전체 마스크 생산실적이 381억원으로 전년도(187억원)에 비해 103% 증가했다고 밝혔다. 전체 의약외품 생산실적(1조 4703억원) 중 마스크가 차지하는 비중도 2.6%로 지난해(1.0%)보다 높아졌다. 미세먼지 발생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콘택트렌즈 관리용품도 2016년 55억원에서 지난해 125억원으로 127% 증가했다.

식약처는 “미세먼지가 호흡기와 눈 건강에 영향을 주는 만큼 관련 제품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같은 기간 생산실적이 급격하게 증가한 품목에는 치아미백, 의치 세척, 소독용 제제 등 구강위생 제품(▲144%)과 금연보조제(▲383%), 땀띠·짓무름 용제(▲267%) 등이 있다. 세 품목 모두 전체 의약외품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0.1~0.6%로 작은 편이라 의약외품 생산실적 증감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국내 의약외품 시장 규모
국내 의약외품 시장 규모 식품의약안전처 제공
생산실적이 감소한 건 의약외품의 약 20%를 차지하던 염모제와 탈모방지제, 욕용제, 제모제 등 4종이 지난해 화장품으로 전환됐기 때문이다. 또 의약외품의 50%를 차지하는 치약제(▼13%)와 생리대(▼13%) 등의 생산실적이 하락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다만 의약외품 무역흑자는 2016년 1713억원에서 지난해 1871억원으로 9.2% 증가했다. 같은기간 수입금액이 2410억원에서 2087억원으로 13.4% 준 데 반해 수출금액은 4123억원에서 3958억원으로 4.0%만 감소해서다.

민나리 기자 mnin1082@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