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남순건의 과학의 눈] 한국 과학교육의 안이함이 가져올 결과

[남순건의 과학의 눈] 한국 과학교육의 안이함이 가져올 결과

입력 2018-07-09 23:10
업데이트 2018-07-10 00: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22년부터 시행되는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개편안을 본 과학계는 다시 한번 깊은 걱정에 빠졌다.
이미지 확대
최고 수준의 학생들이 모이는 서울대 공대에서는 고등학교에서 물리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진학한 학생들을 위한 ‘물리 열(劣)반’을 운영한다고 한다.

입학 후 6개월~1년은 고등학교에서 배웠어야 할 과목들을 보충하고, 마지막 1년은 학점 관리를 위해 재수강을 하는 게 우리 현실이니 실제 대학교육을 받는 기간은 3년에 불과하다. 국내 이공계 대학에서 이런 현상은 오래전부터 시작돼 대학에서 제대로 된 과학 및 공학교육이 어렵다는 현장의 지적은 끊이지 않고 있다.

현재 수능 과학에서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4과목은 I , II 두 단계로 나뉘어 전체 8과목으로 구성됐다. 2018년 통계를 보면 과학 I 중 수능 응시 비율은 지구과학(30%), 생물(28%), 화학(19%), 물리(11%) 순이다. 반면 이공계 대학생들의 수강 과목은 화학(40%), 물리(39%), 생물(16%), 지구과학(5%) 순으로 대학에서 중요한 전공 과목들이 무엇인지를 잘 보여 주고 있다.

과학 II는 더욱 기현상을 보인다. 수능 과목 선택 비율이 지구과학(2%), 생물(1.7%), 화학(0.6%), 물리(0.5%) 순으로 대학에서 중요한 과학 과목들은 수능 과목으로서의 기능을 거의 잃었다. 수능에서 과학은 상대평가 과목이며, 과학고 학생들이나 선택하는 과목이라는 인식 탓에 이런 기현상이 심화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사실 제대로 대학에서의 수학 능력을 살펴보려면 절대평가를 해야 하는데 이런 의견은 공염불처럼 됐다.

현재 정부의 수능 개편안은 앞으로 과학은 8과목에서 4과목으로 줄이고 이 중 하나만 선택하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한국 과학기술 경쟁력은 하향곡선을 그리게 될 것이고 전 세계 과학계에서는 이런 결정을 우습게 여길 것이 불 보듯 뻔하다. 과학계는 이번 정부안이 과학교육 붕괴를 가속화시킬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지만 여느 때처럼 묵살당하고 있다.

당장의 점수를 걱정하고 편하게 공부하고 싶어 하는 학생들에게만 책임을 전가할 수는 없다. 여러 과학기술 관련 단체들은 이미 수차례 이런 문제점을 지적하고 다양한 개선안들을 제시했으나 ‘학생 부담을 덜어 주겠다’는 미명하에 과학교육 정책은 완전히 붕괴되는 쪽으로 달려가고 있다.

기초과학은 지난 1000년 이상 인류가 엄청난 노력을 통해 찾아낸 과학적 사고 체계다. 세상의 모든 이치와 문명의 이기는 과학 법칙을 벗어날 수 없다. 인간 사회가 발전하고 존재하는 한 과학적 소양이 더욱 강조될 수밖에 없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과학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수천억원에 달하는 장비가 아닌 인재다. 과학기술 기반 사회에서 많은 정책적 판단은 여론에서 비롯될 터인데 과학적 소양을 갖추지 못한 국민들이 많을수록 여론과 정책은 엉뚱한 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
이미지 확대
남순건 경희대 물리학과 교수
남순건 경희대 물리학과 교수
역사 속에서도 강대국들이 안이함과 편안함만 추구하다 패망한 경우를 찾는 것은 어렵지 않다. 로마제국의 퇴폐적 문화는 제국의 붕괴를 가속화시켰고 한때 최강의 문명을 자랑하던 중국은 아편이 주는 편안함에서 헤어나지 못해 서구열강에게 사분오열 찢겨졌다가 이를 극복하는 데 100년이 넘게 걸렸다.

과학교육에 팽배해 있는 안이함과 편안함이 조속한 시일에 개선되지 못하면 한국의 미래는 매우 어둡다. 한때 과학교육에서 긴장을 늦췄던 미국은 STEM(과학, 기술, 공학, 수학) 교육을 국가 차원에서 강조하면서 이를 기반으로 한 국가 경쟁력의 반전을 꾀하고 있다. 미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과학 대국을 꿈꾸는 중국은 ‘과학굴기’를 통해 현재 한국이 경쟁력을 보이는 분야를 모두 접수할 것이다. 안이한 과학교육 시스템을 일관하며 홀로 세계적 추세에 역행하는 한국은 회복 불능 상태가 될 것이다.

과학에서도 사람이 먼저다. 과학교육을 하루속히 정상화해야 한다.
2018-07-10 2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