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기고] 경제의 든든한 버팀목, 외환보유액/고형권 기획재정부 1차관

[기고] 경제의 든든한 버팀목, 외환보유액/고형권 기획재정부 1차관

입력 2018-07-05 23:10
업데이트 2018-07-06 01: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크든 작든 장사를 하는 사람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게 있다면 문을 닫아야만 하는 ‘부도의 공포’가 아닐까 싶다. 애플은 웬만한 나라의 국내총생산(GDP) 규모를 훨씬 넘는 현금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 고인이 된 최고경영자 스티브 잡스가 겪은 트라우마 때문이라고 한다. 그는 파산 직전에 몰렸다가 빌 게이츠가 경영하던 마이크로소프트사로부터 현금을 조달해 위기를 모면했다. 이러한 부도의 공포는 사업가뿐만 아니라 비(非)기축통화국의 공직자라면 누구나 느낄 수 있다.
이미지 확대
고형권 기획재정부 1차관
고형권 기획재정부 1차관
1980년대 중반 한국 경제는 저달러·저유가·저금리라는 ‘3저 호황’을 경험하면서 외환보유액이 증가하는 시기를 잠시 맞이했다. 이후 1990년대 초반 환율 경쟁력 약화로 제조업 수출이 제 역할을 못 하면서 외환보유액은 다시 줄어들었다. 1997년 외환위기 당시엔 39억 달러까지 떨어졌다. 그야말로 절체절명의 국가 부도 위기였다.

위기는 2008년에 또다시 찾아왔다. 충분하다고 생각했던 외환보유액 2600억 달러가 2000억 달러 선까지 줄어들자 시장이 크게 요동쳤다. 시장 불안은 미국과의 통화스와프 체결 소식이 나오고서야 비로소 진정됐다. 두 차례 위기를 겪으면서 우리는 외환보유액이 우리 경제의 생명줄이라는 사실을 절감했다.

국가 경제에서 외환보유액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우리나라처럼 무역 의존도가 높고 금융시장이 개방된 나라에서 외환보유액은 외화 비상금이라고 할 수 있다. 외환보유액이 충분한 나라는 환투기나 급격한 자금 유출 위험이 줄어들고 자연히 위기 발생 가능성이 낮아진다. 국가신용등급을 평가할 때 외환보유액을 꼼꼼히 살피는 것도 이 때문이다.

지난 6월 말 기준으로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이 사상 최초로 4000억 달러를 넘어섰다. 1997년 당시보다 100배, 2008년보다는 2배 수준이다. 이런 외환보유액 증대의 역사는 주력 산업의 수출 경쟁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산업 경쟁력에 따른 수출 호조가 지속적인 경상수지 흑자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외환보유액뿐만 아니라 민간 부문의 대외자산을 포함한 대외순자산도 지난 3월 말 기준으로 2765억 달러 수준이다. 우리 경제 전체가 갚을 돈보다 빌려준 돈이 훨씬 많다는 의미다. 그만큼 부도 위험은 낮아졌다.

최근 세계 경제와 국제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선 무엇보다도 외환보유액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혹자는 외환보유액 유지 비용을 문제로 거론한다. 외환보유액은 특성상 유동성이 높고 금리가 낮은 안전자산에 투자할 수밖에 없다. 외환보유액은 국방비와 같아서 자칫 모자랄 경우 그보다 훨씬 큰 비용을 지불하게 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위기는 항상 다른 옷을 입고 나타난다. 그만큼 위기의 원인과 전개 양상을 미리 알고 대비하기가 어렵다. 상대가 어떻게 나올지 모를 때 가장 좋은 전략은 기본에 충실한 것이다. 둑이 높으면 큰 홍수를 막을 수 있고 튼튼한 배는 바람이 어느 방향에서 불어도 쉽게 쓰러지지 않는다. 외환보유액이 어느 때보다 든든하게 느껴지는 이유다.
2018-07-06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