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서울, 다이어트 효과 최하위…‘미세먼지’ 때문

서울, 다이어트 효과 최하위…‘미세먼지’ 때문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18-07-04 11:30
업데이트 2018-07-04 11: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상열 경희대병원 교수팀 분석

미세먼지. 서울신문 DB
미세먼지. 서울신문 DB
미세먼지와 다이어트 관계 첫 규명

도시의 미세먼지 농도가 높을수록 다이어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국내 연구팀의 조사결과가 나왔다. 세계 주요 도시 거주자를 대상으로 미세먼지와 체중감량 효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에서 서울은 미세먼지 농도가 가장 높고 다이어트 효과는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열 경희대병원 내분비내과 교수팀은 이런 내용을 담은 보고서 ‘체중감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대기오염’을 대한당뇨병학회지 최근호에 공개했다고 4일 밝혔다. 이 교수팀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사람이 활용하는 체중관리 어플리케이션 ‘눔’(Noom)의 빅데이터를 분석했다. 2012년 10월부터 2014년 4월까지 다이어트를 통한 체중 변화 기록과 도시별 미세먼지 농도를 연계해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서울, 시카고, 디트로이트, 로스앤젤레스, 뉴욕, 암스테르담, 도쿄, 베를린, 시드니, 런던 등 10개 지역에 거주하는 2608명의 데이터를 사용했다.

미세먼지 농도가 가장 높은 도시는 서울이었다. 서울의 연간 평균 미세먼지 농도는 PM10(지름 10㎛ 이하의 먼지) 기준 46㎍/㎥, PM2.5(지름 2.5㎛ 이하의 먼지) 기준 24㎍/㎥였다. 반면 시카고, 디트로이트, 로스앤젤레스, 뉴욕 등 미국 도시들은 PM10은 13~22㎍/㎥, PM2.5는 7~12㎍/㎥ 수준으로 훨씬 낮았다. 특히 미국의 대표적인 공업도시였던 디트로이트는 PM10이 13㎍/㎥, PM2.5는 7㎍/㎥으로 세계에서 대기가 가장 깨끗한 도시로 확인됐다. 호주의 시드니도 미세먼지 농도가 각각 17㎍/㎥, 8㎍/㎥로 비교적 청정 지역이었다. 서울과 가까운 도쿄는 PM10은 28㎍/㎥, PM2.5는 15㎍/㎥로 서울보다 깨끗한 지역으로 분석됐다.
세계 10개 도시의 PM10, PM2.5 등 미세먼지 농도. 평균 체질량지수(BMI) 감소폭. 경희대병원
세계 10개 도시의 PM10, PM2.5 등 미세먼지 농도. 평균 체질량지수(BMI) 감소폭. 경희대병원
대기오염이 심한 곳은 다이어트 효과가 낮았다. 분석 기준으로 삼은 체질량지수(BMI·몸무게를 키의 제곱으로 나눈 값) 감소값은 서울이 가장 낮았다. 서울의 평균 BMI 감소 값은 -1.261㎏/㎡였다. 시드니는 -2775㎏/㎡로 가장 많은 체중을 감량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어 디트로이트(-2.506㎏/㎡), 뉴욕(-2.502㎏/㎡), 시카고(-2.474㎏/㎡), 런던(-2.358㎏/㎡), 로스앤젤레스(-2.313㎏/㎡), 베를린(2.046㎏/㎡) 등의 순이었다.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지면 야외 활동이 줄어 운동량이 감소한다. 우리나라 성인의 운동량이 줄고 비만 환자가 늘어나는데 미세먼지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질병관리본부의 ‘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보면 30세 이상 남자 비만 유병률은 43.3%로 전년보다 1.5% 포인트 늘었다. 30세 이상 여자 비만 유병률은 30.0%로 0.4% 포인트 늘었다. 걷기 실천율은 남자가 40.6%, 여자가 38.6%로 각각 전년보다 1.2% 포인트, 2.1% 포인트 감소했다.

이 교수는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지면 우리의 행동이 바뀌게 된다”며 “미세먼지 농도가 높으면 외출을 자제하고 활동량이 줄어 체중 감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했다. 이어 “미세먼지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염증이 늘어 비만이나 대사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