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교육개혁 리포트-대한민국 중3] 정부부터 ‘학벌’ 깨야 대입 개편 성공한다

[교육개혁 리포트-대한민국 중3] 정부부터 ‘학벌’ 깨야 대입 개편 성공한다

유대근 기자
입력 2018-07-01 23:04
업데이트 2019-05-27 14: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수능 지지하든 ‘학종’ 지지하든 속마음은 “명문대 나와야 출세”

대학 서열화·무한경쟁에 강박감
정부가 ‘낡은 룰’ 타파 앞장서야
“우리 사회의 ‘낡은 룰’을 깨야 대입 개편의 해법이 보인다.”

현재 중학교 3학년이 고3 때 치를 새 대학입시 모형(2022학년도 대입 개편안)을 찾기 위한 작업이 한창이다. ‘수능(대학수학능력시험)이냐, 학종(학생부종합전형)이냐’를 두고 다투는 모양새인데 대학 진학이 우리 사회에서 가져오는 의미를 생각할 때 단순히 각 전형의 기술적 장단점만 비교해서는 지속될 수 있는 모델을 찾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서울신문이 1일 빅데이터 분석 기업인 ‘아르스프락시아’에 의뢰해 수능파(수능 전형 지지)와 학종파(학생부종합전형 지지) 학부모 각 4명씩 심층그룹인터뷰(FGI)를 진행하고 심리 기저를 살펴보니 학부모들도 비슷한 속마음을 가지고 있었다. 정부가 ‘경쟁 지향적인 한국에서는 명문대를 나와야 성공한다’는 등의 낡은 룰을 깨기 위한 큰 그림을 보여 줘야 어떤 방향의 대입 개편이든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수능파 학부모들은 보통 수능의 ‘공정성’을 강조하며 수능 전형 확대를 주장하는데 그 밑바탕에는 조금 더 근본적 논리가 있었다. 분석을 주도한 김도훈 아르스프락시아 대표는 “수능파 학부모가 수능 전형을 정당화하기 위해 쓴 ‘겉 의미’ 단어를 찾아보니 ‘내신성적’, ‘SKY’(서울대·고려대·연세대), ‘공부’ 등이 잡혔고, 실제 관심사나 가치관이 드러나는 ‘속 의미’ 단어로는 ‘능력’, ‘소양’, ‘부담’ 등이 쓰였다”고 말했다. 풀이하자면 ‘한국은 무한경쟁 사회→승리 위해 능력(소양) 필요→학벌(SKY)은 여전히 강력한 능력→이를 위해 대입이 매우 중요한데 학종은 불투명성 때문에 심적·경제적 부담이 너무 크다’는 논리 회로다.

반면 학종파 학부모들은 ‘속 의미’ 단어로는 ‘존중’, ‘인생’, ‘맥락’ 등이 잡혔다. ‘교육은 인성 함양의 한 과정이며 이를 위해 과정(맥락) 중심의 학습이 중요하다. 또 자녀가 부모와는 독자적인 인생을 사는 걸 존중해야 한다’는 철학이 담겨 있다. 하지만 인터뷰 내용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정시파 학부모와 마찬가지로 학벌과 경쟁에 대한 고민이 일부 엿보였다. 심층 인터뷰에 참여한 40대 학종파 학부모는 “취업 등 사회 시스템의 불공정함, 양극화, 대학 서열화 등 거대 문제들이 대입을 꼭 성공시켜야 한다는 강박감을 키우는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어떤 입시 제도도 본질적으로 모두를 만족시킬 수 없는 상황에서 학부모들이 교육과정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 자녀와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하고 있는지 등을 따져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박재홍 기자 maeno@seoul.co.kr

2018-07-02 1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