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그림·영상… 시각예술로 풀어낸 페미니즘

그림·영상… 시각예술로 풀어낸 페미니즘

이정수 기자
이정수 기자
입력 2018-06-29 18:26
업데이트 2018-06-29 18: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페미니즘/김영옥 지음/미디어일다/416쪽/2만원
이미지 확대
정정엽 ‘outpouring’
정정엽 ‘outpouring’
붉은 팥알 수천알이 알 수 없는 어떤 구멍 밖으로 쏟아져 나오는 그림이 있다. 제목은 ‘봇물’(outpouring), 민중작가 정정엽의 작품이다. ‘구멍 자체가 격한 통증을 견디며 터져 나오고 있는 듯한, 원초적 태곳적 남근적 어머니의 위력으로 관람객을 감응시킨다’고 저자는 표현한다.

이어 ‘붉은 팥알 하나하나는 이름 없이 광채 없이 범속한 삶을 사는, 그러나 안으로부터 터져 나오는 생기를 숨기지 못하는 여성들의 이야기’라는 해석을 꺼낸다. 문화이론가 쥘리아 크리스테바 식의 표현을 빌려 일종의 ‘비체’의 느낌이라는 분석도 덧붙인다.

책에는 페미니즘 문화연구자인 저자가 10여년간 시각예술 작업을 하는 작가들과 교류해 온 여정이 담겼다. 우리를 둘러싼 이미지들, 현대미술의 미학체계에 대해 다양한 질문을 던지고 그 안에서 삶의 흔적을 탐색하고 있다. 장소와 성, 타자와 성, 포스트 콜로니얼(식민지 이후)의 시공간, 디지털 구술문화로서의 스토리텔링, 그리고 여성미학의 가능성에 특히 집중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가령 책의 4장 중 ‘고승욱의 동두천 프로젝트’를 다루는 부분에서는 해방 이후 한국이 미국과 맺어온 동맹 관계의 구조화가 구체적으로 드러난 공간에서 그동안 왜곡된 방식으로 보였던 기지촌 여성들이 가시성과 정당성을 얻은 과정에 주목한다.

고승욱의 비디오 작업에 역사학자 도미야마 이치로의 질문을 접목해 보다 깊이 있는 분석을 제시한다.

문화연구 방법론, 특히 젠더 관점과 페미니즘 인식론을 통해 시각예술과 정치·경제 이데올로기의 관계를 추적하는 서술방식이 일반 독자에게는 다소 생소할 수도 있다. 그러나 20여 작가의 작품들을 바라보는 저자의 시선을 차근차근 좇아가다 보면 고립된 문법체계 안에 머물러 있는 한국의 예술 논의에 좀더 생산적인 접근이 가능해진다.

이정수 기자 tintin@seoul.co.kr
2018-06-30 18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