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줄어든 임금만큼 인력 채용 늘까…金고용 “탄력근로 실태조사 후 개선”

줄어든 임금만큼 인력 채용 늘까…金고용 “탄력근로 실태조사 후 개선”

홍인기 기자
홍인기 기자
입력 2018-06-29 22:30
업데이트 2018-06-29 23: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새달부터 주52시간 근무제 대변화

“전반적 확대 땐 노동시간 단축 무의미
6개월 계도기간 위법 사안 강력 감독”
‘월화수목금금금’으로 상징되는 과로 문화가 다음주부터 대변화를 맞는다. 김영주 고용노동부 장관은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을 이틀 앞둔 2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갖고 “주 5일 근무제를 도입할 때도 많은 우려와 걱정이 있었지만, 우리 사회는 제도를 잘 안착시킨 경험이 있다”며 “전체 300인 이상 사업장 3627곳을 조사했더니 59%는 이미 주 52시간 이내로 근무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다음달 1일부터 300인 이상 사업장과 공공기관은 연장 근로(평일·휴일 12시간)을 포함해 일주일에 최대 52시간을 넘겨서 일할 수 없다. 이를 어기는 사업주는 형사처벌 대상이 된다. 50~299인 사업장은 2020년 1월 1일부터, 5~49인 사업장은 2021년 7월 1일부터 근로시간 단축이 적용된다.

‘장시간 노동을 줄이자’는 주 52시간 근무제의 취지와 달리 신규 채용에 따른 기업의 인건비 부담과 근로시간 단축으로 인한 노동자의 임금 감소 문제가 산업 현장에서 풀어야 할 과제로 남았다. 아울러 재계가 요구하는 탄력적 근로시간제 기간(현행 3개월)을 확대하는 것과 장시간 노동을 이끄는 임금 체계인 ‘포괄 임금제’에 대한 규제도 해결해야 한다.

이와 관련,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탄력적 근로시간제 기간을 6개월로 늘리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김 장관은 브리핑에서 “현재 탄력적 근로시간제를 활용하는 기업은 전체의 3.4%에 불과하다. (업종) 전반적으로 6개월로 늘리면 노동시간 단축의 의미가 없다”고 부정적인 입장을 내비쳤다. 김 장관은 “당장은 기업들이 제도를 활용하는 데 어려움이 없도록 하겠다”며 “하반기에 면밀한 실태조사를 통해 실제 활용 현황을 분석하고, 제도 개선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근로기준법에는 2022년 말까지 탄력적 근로시간제 기간 확대를 포함해 유연 근로시간제에 대한 개선안을 마련하도록 했다. 또 포괄임금제에 대해서는 “사무직에 남용하는 것을 규제해야 한다”며 “포괄임금이 필요한 직종이나 산업에 대해 실태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주 52시간 근무제가 현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최장 6개월의 처벌 유예기간을 두기로 했다. 김 장관은 “6개월의 계도 기간은 위법을 눈감겠다는 게 아니다. 다음달부터 법 적용을 받는 300인 이상 사업장에 대해서는 제보 접수를 비롯한 위반 사안이 인지되면 강력한 근로감독을 실시하겠다”고 말했다. 고용부는 올 상반기 근로감독관 200명을 뽑았고, 하반기에도 600명을 추가로 선발한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18-06-30 8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