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자치광장] 그래도 나무는 자라고 있다/주철환 서울문화재단 대표이사

[자치광장] 그래도 나무는 자라고 있다/주철환 서울문화재단 대표이사

입력 2018-06-26 18:00
업데이트 2018-06-26 18: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 실험연극의 산실로 불리는 삼일로창고극장이 ‘다시’ 문을 연다. 그동안 문을 열고 닫기를 수차례 반복해 왔다. 운영을 맡은 서울문화재단 대표로서 개관식 ‘초대의 글’을 의뢰받으니 감개가 무량하다. 대학 시절 처음 연극을 본 곳이 바로 이 극장이었기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주철환 서울문화재단 대표이사
주철환 서울문화재단 대표이사
명동성당에서 친구를 만나 극장 쪽으로 걸어 올라가던 발걸음은 꽤 설레었다. 그 느낌을 어떤 언어로 되살릴 수 있을까. 이럴 땐 노래가 제격이다. 예전에 흥얼거렸던 유행가 한 소절이 퍼뜩 스쳐 지나간다. ‘내일이면 추억 남길 삼일로 고갯길.’ 기억하는 사람이 많지 않겠지만 노래 제목은 ‘삼일로’이고 가수 이름은 ‘여운’이다.

삼일로창고극장에는 우여곡절이 많았다. 애초에 창고가 극장이 된 것은 참으로 아름다웠으나 반대로 극장이 창고가 되는 현실은 적잖이 안타까웠다. “예술이 가난을 구할 수는 없지만 위로할 수는 있습니다.” 한동안 삼일로창고극장 외벽에 붙어 있던 명언이다. 과연 이 말로 몇 명의 배우가, 연출가가, 극작가가, 스태프가 위로받았을까.

삼일로창고극장이 문을 닫았던 이유는 여러 가지 기록으로 살펴볼 수 있다. 종합하면 한마디로 경영난이다. 왜 이 땅의 연극, 아니 무대는 대부분 경영에 어려움을 겪었을까? 그 사태를 지켜보면서 김수영(1921~1968) 시인의 ‘공자의 생활난’ 마지막 구절이 오버랩된 적이 있다. “그리고 나는 죽을 것이다.” 부흥은 박수와 눈물로도 가능하지만, 부활의 전제조건은 언제나 죽음이다. 죽어야 부활할 수 있다. 죽기를 각오하고 연극에 임해야 무대가 부활할 수 있다.

서울시와 재단은 역사와 추억의 가치를 인정받아 서울미래유산으로 지정된 삼일로창고극장의 부활을 위해 지난 3년을 함께 노력해 왔다. 그 결과 극장은 연습실, 갤러리를 갖춘 지원 시설로 우리 곁에 다시 오게 됐다. 우리 재단은 연극인과 손을 꼭 잡고 연극 부활을 모색하고 협의하고 실천할 것이다.

안방극장엔 광고와 영상이 있지만, 창고극장엔 사람과 호흡이 있다. 살아 있는 사람을 만날 수 있기 때문에, 그들과 어둠 속에서 빛을 찾을 수 있기 때문에 관객은 극장을 찾는다. 그래서 지금부터 우리가 할 일은 ‘창고’ 대방출이다. 하지만 ‘싸게’ 만들지는 않을 작정이다. 삼일로창고극장이 지향하는 두 개의 기둥은 품격과 파격이다. 초심, 진심, 열심을 바탕으로 시대정신과 청년정신을 놓치지 않을 것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사랑하는 시로 윤동주의 ‘서시’가 뽑힌 적이 있다. 거기에 나오는 다짐처럼 모든 죽어 가는 것을 사랑하고 죽어 가는 무대를 되살리기 위해 주어진 길을 걸어가야겠다. 사실 그동안 많은 시인들이 ‘서시’를 썼다. 하지만 오늘만큼은 김수영의 ‘서시’(1957)에 나오는 구절로 오래된 희망을 불러내고 싶다. ‘그래도 나무는 자라고 있다’
2018-06-27 2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