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그때의 사회면] 혼탁했던 선거

[그때의 사회면] 혼탁했던 선거

손성진 기자
입력 2018-06-10 22:50
업데이트 2018-06-10 22: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방선거가 이틀 앞으로 다가왔다. 제1공화국 자유당 시절에는 유권자 매수보다 부정선거가 판을 쳤으니 선거의 혼탁상이 가장 심했다. 개표 부정은 공공연했다. 개표 도중 손가락에 인주를 묻힌 뒤 반대표에 마치 피아노를 연주하듯 문질러 무효표를 만든 ‘피아노표’, 반대표에 붓 대롱을 한 번 더 찍어 무효표로 만든 ‘쌍가락지표’, 불을 끄고 개표한 ‘올빼미 개표’, 여당표 중간에 야당표나 무효표를 끼워 넣는 ‘샌드위치표’, 야당 참관인에게 수면제가 든 닭죽을 먹이고 임의개표한 ‘닭죽 개표’도 있었다.
총선을 5일 앞둔 1967년 6월 3일 자 어느 신문에 사진 한 장이 실렸다. 평일인 그날 대구의 한 유원지에서 술판과 춤판이 벌어졌는데 놀랍게도 한복을 입은 여성들이었다. 젖먹이 아기를 안고 춤을 추다 쓰러진 여성, 술에 취해 드러누운 여성의 모습도 고스란히 담겼다(※사진※). 여성들이 후보자들의 ‘막걸리 선거’의 목표가 된 것은 그날이 평일이었기 때문이다. 남자들은 일터로 나갔으니 여성 유권자들을 상대로 술판을 벌인 것이다. 혼탁한 선거 양상을 보여 주는 이 사진의 제목은 ‘막걸리에 실성한 주권’이다. 지금이야 거의 사라졌다지만 선거를 앞두고 유권자들에게 막걸리를 제공하거나 고무신, 비누 등 금품을 돌리는 일은 흔했다. 더욱이 농번기에 농촌 유권자들이 일은 하지 않고 음주가무를 하는 추태를 벌여 문제가 되었다. 보다 못한 초등학생들이 부모들의 반성을 촉구하는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동아일보 1971년 3월 30일 자).

1971년 총선에서도 혼탁상은 마찬가지였다. 유권자에게 제공되는 물품은 고무신에서 거울, 라이터, 비누, 수건 등으로 다양해졌고 돈 봉투를 아예 유권자의 집에 후보의 기호표와 함께 투입하는 일도 비일비재했다. 인터넷이 없던 때라 행상인이나 대학생을 흑색선전에 이용하기도 했다. 즉 이들이 돌아다니며 “호남표가 단결해서 야당을 미는데 영남이 가만히 있어서 되겠느냐”며 지역감정을 조장한 것이다. 6월 항쟁 이후 치러진 1987년 대선도 혼탁 선거는 더했으면 더했지 개선되지 않았다. 버스에 유권자들을 태워 유세장으로 동원하고 일당을 지급하는 금품선거가 판을 쳤다. 막걸리판 대신 음식점 초대가 성행했고 현금봉투가 난무했다. 이듬해 실시된 총선에서는 국회의원 후보가 동네 주민들을 모아 놓고 대낮에 버젓이 갈비 파티를 벌이는 것도 예사였다(동아일보 1988년 4월 20일 자). 1992년 총선은 어땠을까. 선거 폭력배들이 유세장에서 행패를 부리는 것은 물론 금품선거의 악습도 여전했다. 2000년대 이후에는 금품으로 유권자를 매수하는 행위나 선거 폭력은 줄어들었지만 인터넷과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한 후보간의 흑색선전, 중상모략, 인신공격은 오히려 더 심해졌다.

손성진 논설고문 sonsj@seoul.co.kr
2018-06-11 26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