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사설] 평범한 이웃의 헌신 강조한 현충일 추념사

[사설] 평범한 이웃의 헌신 강조한 현충일 추념사

입력 2018-06-06 22:38
업데이트 2018-06-06 22: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문재인 대통령은 어제 열린 제63회 현충일 추념식에서 ‘보훈’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했다. ‘이웃’과 ‘가족’ 등의 단어들을 수차례 반복하면서 평범한 이웃들의 관심으로 만드는 역사와 나라 사랑을 부각했다. 지난해까지 역대 대통령의 현충일 추념사는 전쟁 희생자들이나 독립 유공자들을 기리며 애국심을 강조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문 대통령의 추념사에는 ‘이웃’이라는 단어가 9번이나 등장했다. 대신 ‘가족’이라는 단어가 ‘애국’과 마찬가지로 7차례 사용됐다. 지난해 애국(자)은 22차례나 언급됐다. ‘평범’이라는 단어도 4차례 언급됐다.

문 대통령은 추념사에서 보훈의 의미에 대해 “국가를 위한 헌신에 대한 존경”이라고 정의함과 동시에 “이웃을 위한 희생이 가치 있는 삶이라는 것을 가슴에 깊이 새기는 일”이라고 규정했다. 애국과 보훈이라는 것이 거창한 것이 아니라 평범한 이웃들의 헌신이 곧 나라 사랑이라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해석된다. 실제 문 대통령은 추념사에서 이웃을 위해 희생한 ‘의인’들인 채종민 정비사, 황지영 행정인턴, 금나래 어린이집 교사, 대학생 안치범군 등을 차례로 열거하면서 추도했다. 일상에서 이웃의 목숨과 안전을 지켜 낸 의인들 역시 잊지 않겠다는 메시지다.

이날 추념식 장소를 국립대전현충원으로 잡아 국가 유공자들의 평범성을 강조한 것도 의미 있다. 독립 유공자와 참전 유공자 등으로 묘역이 조성된 서울현충원과 달리 대전현충원에는 의사상자·소방 및 순직공무원들이 잠들어 있다. 평범한 일상에서 이웃과 가족을 아끼는 마음이 현재 대한민국을 만들었다는 메시지다. 문 대통령 내외는 추념식에 앞서 한국전쟁에서 전사한 김기억 육군 중사 등이 안장된 무연고 묘지를 찾았다. 후대에 잊혀져 가는 무연고 묘소를 끝까지 ‘대한민국의 이름’으로 돌보겠다고 약속한 것이다. 문 대통령은 “애국과 보훈에 보수와 진보가 따로일 수 없다”며 보훈 정신이 진영 논리에 이용당하지 않고 국민 통합의 길로 가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비무장지대 유해 발굴 추진도 의미 있다. 문 대통령은 “남북 관계가 개선되면 비무장지대의 유해 발굴을 우선 추진하겠다”면서 “미군 등 해외 참전용사들의 유해도 함께 발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휴전선 155마일에 걸친 유해 발굴은 지뢰 제거와 남북 군사력 후방 이전 등 걸림돌이 있다. 하지만 북·미 정상회담 이후 예상하는 종선선언 등과 함께 평화체제를 구축하는 첫 사업이 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2018-06-07 31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