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주열, 미 금리인상 충격 경고…“금융 불안 언제든 재연”

이주열, 미 금리인상 충격 경고…“금융 불안 언제든 재연”

입력 2018-06-04 09:20
업데이트 2018-06-04 09: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BOK국제콘퍼런스 개회사…“중립금리 금융위기 전보다 상당 폭 낮아진 듯”

이주열 총재 [연합뉴스 자료사진]
이주열 총재 [연합뉴스 자료사진]
이달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예상되는 가운데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013년과 같은 ‘긴축발작’이 언제든 재연될 수 있다고 경고 수준을 높였다.

이주열 총재는 4일 서울조선호텔에서 열린 BOK 국제콘퍼런스 개회사에서 “2013년 테이퍼 탠트럼(긴축발작) 당시 미 통화정책 기조 변화 신호가 신흥시장국에서의 급격한 자본유출과 국제금융시장 불안을 초래했다”면서 “앞으로 선진국들이 통화정책 정상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이와같은 급격한 자본이동과 국제금융시장 불안은 언제든 재연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최근에도 미 금리상승과 달러화 강세가 일부 신흥국 금융불안 원인이 됐다”고 진단했다.

그는 “각국 금융과 교역이 서로 긴밀하게 연계돼 있어서, 특히 주요국은 자국 정책 변화가 국제금융시장과 세계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그 영향이 다시 국내로 되돌아올 수 있다”며 이처럼 말했다.

미 연방준비제도(연준)는 12∼13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연 1.75∼2.00%로 0.25%포인트 인상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은은 지난달 24일 금융통화위원회 후 의결문에서 향후 고려요인으로 ‘주요국 통화정책 변화’를 1순위로 끌어올렸다. 이 총재도 당시 기자간담회에서 “6월 미 금리 결정이 신흥국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있다”고 말하는 등 주의를 집중하고 있다.

이달 미 금리 인상은 널리 예상된 일이지만 글로벌 금융시장에서는 ‘6월 위기설’과 함께 그 어느 때보다 긴장감이 높다. 이미 휘청거리는 신흥국들이 자금유출로 더 위태로워져서 제2 금융위기 뇌관으로 작동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금융위기 후 통화정책 환경 변화에 따른 중앙은행의 또 다른 고민거리로 그는 경제활동과 인플레이션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필립스 곡선 형태 변화를 들었다.

또, 중립금리가 위기 전보다 상당폭 낮아졌다는 우려를 꼽았다.

그는 “중립금리가 낮아지면 경기 하강국면에서 정책금리를 인하할 여지가 줄어든다”며 경기 변동에 충분히 대응하기 어려워지는 상황을 예상했다.

중립금리는 장기 추세적 요인으로 낮아진 것으로 보여서 앞으로도 낮은 수준에 머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그는 전망했다.

이 총재는 이런 변화에 대응해 선진국 중앙은행들은 비전통적 정책수단을 동원했다고 전했다.

다만 대규모 자산매입과 마이너스 금리 등이 기축통화국이 아닌 나라에서도 활용 가능한지, 아니라면 어떤 대안이 있는지 연구,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그는 다른 정책과 조합을 강조하며 수요부진이 지속하는 경우에는 재정정책을 완화적 통화정책과 함께 확장적으로 운영하면 더 효과적으로 거시경제 안정을 이룰 수 있다고 말했다.

저성장·저인플레 환경에서 통화정책이 경기회복을 추구하면 금융 불균형이 누적될 수 있다고 지적하고, 이런 가운데 금융안정을 도모하려면 거시건전성 정책과 공조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경제주체들의 기대를 안정적으로 관리해나가기 위해 정책 커뮤니케이션 노력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merciel@yna.co.kr

(끝)

<저 작 권 자(c)연 합 뉴 스. 무 단 전 재-재 배 포 금 지.>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