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말빛 발견] 깃들다/이경우 어문팀장

[말빛 발견] 깃들다/이경우 어문팀장

이경우 기자
입력 2018-05-30 17:56
업데이트 2018-05-31 01: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물들다’는 ‘물’과 ‘들다’가 결합한 형태다. ‘멍들다’, ‘정들다’도 같은 방식으로 이뤄졌다. 모두 앞 말들과 ‘들다’가 합해져 만들어졌다.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팀장
이경우 어문팀장
이 말들을 ‘물들게 하다’나 ‘멍들게 하다’와 같은 뜻으로 쓰는 방식은 간단하다. 접미사 ‘-이-’를 붙이면 된다. ‘물들이다, 멍들이다, 정들이다.’ 이렇게 ‘-이-’는 어떤 동작이나 행동을 하도록 한다는 뜻을 더한다.

‘깃들다’도 앞의 말들과 같다. ‘길+들다’이다. 그런데 ‘깃들다’와 ‘깃들이다’는 ‘멍들다’와 ‘멍들이다’의 관계와 다르다. ‘멍들이다’는 ‘멍들다’에서 갈라져 나왔지만, ‘깃들이다’는 ‘깃들다’에서 오지 않았다. ‘깃들이다’가 먼저이고, ‘깃들다’가 나중이다. 뜻을 나타내는 관계도 특이하다. ‘깃들이다’가 ‘깃들게 하다’는 말이 아닌 것이다.

‘깃들이다’ 이후 ‘깃들다’가 널리 쓰이면서 국어사전들은 두 단어를 구별했다. 애초 쓰이던 대로 짐승이 보금자리를 만들어 사는 것을 ‘깃들이다’라고 했다. 아늑하게 서리는 것, 감정과 생각, 노력이 어리거나 스미는 것은 ‘깃들다’라고 밝혔다.

지적을 한다. 그래서 “추억이 깃들여 있다”는 그른 표현이라고. 국어사전에 근거를 두거나, 이전 말글살이의 경험에 따른 것이다. 현실에서는 ‘깃들다’와 ‘깃들이다’가 넘나들며 쓰인다. ‘깃들다’가 더 넓게 사용된다.

wlee@seoul.co.kr
2018-05-31 29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