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열린세상] ‘언론 패싱’과 저널리즘의 위기/이대현 국민대 언론정보학부 겸임교수

[열린세상] ‘언론 패싱’과 저널리즘의 위기/이대현 국민대 언론정보학부 겸임교수

입력 2018-05-29 17:42
업데이트 2018-05-29 17: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대현 국민대 언론정보학부 겸임교수
이대현 국민대 언론정보학부 겸임교수
거추장스럽게 언론을 통해 알릴 필요도 이유도 없다. 언론을 통해 여론을 수렴하고, 그것을 정책에 반영하는 방식보다는 국민에게 직접 알리고 듣는 것이 낫다. 이른바 ‘언론 패싱’이다.

지난 26일 제2차 남북 정상회담이 그랬다. 물론 다음날 대통령이 직접 회담 결과를 기자회견을 통해 밝혔지만, 정작 언론은 회담이 열린 것조차도 모르고 있었다. 청와대가 페이스북에 올린 ‘문재인 대통령은 26일 오후 3시부터 5시까지 통일각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두 번째 정상회담을 개최했습니다’라는 한 줄과 관련 사진들을 올린 뒤에야 알았다.

언론이 그날 할 수 있었던 일이란 부리나케 속보로 청와대 페이스북을 퍼 나르는 것이었다. 청와대가 예고한 대로 대통령의 발표를 기다리면서 온갖 분석과 해설 기사를 내놓았지만 사실 확인 없는 추측뿐이라 공허했다. 언론이 설 자리는 없었다. 결국 다음날 대통령의 발표를 듣고서 부산을 떨었지만 맥이 빠졌다. 국민은 청와대 페이스북에서 일찌감치 사실을 확인했고, 회담의 의미까지 서로 교환할 수 있었으니까.

이번 남북 정상회담은 그럴 수 있다. 사안의 중요성을 감안해 극비리에 전격적으로 열렸다. 회담 개최 사실을 사전에 공개할 수 없었다. 회담 내용도 외교 관례상 상대의 입장을 존중해 일정을 잡아야 했다. 그러나 지난해 평택 미군기지에서의 한·미 정상의 만남의 순간에도 언론은 없었다. 청와대가 직접 페이스북을 통해 소식을 국민에게 알렸고, 대통령의 동남아 순방에서도 취재기자단이 동행했음에도 청와대가 직접 현장을 단독 생중계했다. 청와대 페이스북이 방송을, 국민청원이 공론의 장을 대신하는 셈이다.

‘언론 패싱’이 가장 노골적인 대통령은 미국의 트럼프다. 중동 문제, 북ㆍ미 회담 같은 중요한 외교, 국방 정책에서부터 주요 직책의 인사, 자신의 정치적 입장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을 언론이 아닌 자신의 트위터로 국민에게 전달하고 있다.

‘언론 패싱’의 가장 큰 이유는 ‘불신’이다. 언론이 정파성에 빠져 사실을 왜곡하고, 심지어 허구를 사실인 양 보도하고, 일방적 주장을 하기 때문이다. 멀리 갈 것도 없다. 북한 핵실험장 폐기와 북·미 정상회담을 놓고 나온 일련의 오보와 ‘나 혼자만 알고 있다’는 식의 왜곡 보도만으로도 불신 사례는 충분하다.

다양하고 폭넓은 여론 수집과 공론화를 위한 ‘공공포럼으로서 저널리즘’에서도 한참 벗어나 있다. 자기 입맛에 맞는 패널들과 의미 비틀기, 과장, 극단적 주장, 아니면 소수만이 흥미를 가질 만한 사소한 것으로 하루 종일 시간을 채우는 종편들이 그렇다. 청와대 등이 언론을 건너뛰어 휴대폰 하나로 언제든 빠르게 국민과 직접 소통하려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대안’인지 모른다. 그것이 기술적으로 가능한 세상이니까.

‘언론 패싱’은 언론에 대한 불신이 강해질수록, 자신에 대한 지지도가 높을수록 커질 것이다. 그러나 그것이 안고 있는 위험성도 간과할 수 없다. 건전한 감시와 비판까지 외면한 일방적 소통으로 독선과 자만, 편향에 빠지기 쉽다. ‘언론 패싱’의 이유인 입맛에 맞는 것만 골라 지지자들과 주고받는 형태를 그대로 반복할 수 있다. 청와대 국민청원에 몇십만 명이 서명해도 그것이 국민 전체 여론은 아니다.

그렇다고 언론에 대한 불신이 사라지지 않은 상황에서 이런 소통 방식을 무조건 비판만 할 수는 없다. 부작용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변화된 미디어 환경을 이용한 국민과의 직접 커뮤니케이션은 자연스러우며 민주정치 발전에 긍정적인 것도 사실이다. 박근혜 정권 때처럼 우호적, 적대적 언론으로 양분해 당근과 채찍으로 통제하고 여론을 호도하려는 것은 ‘언론 패싱’보다 더 나쁘다. 결코 반복해서는 안 된다.

‘언론 패싱’은 곧 언론의 위기다. 단순히 정부 광고의 감소로 인한 경영적 위기가 아니라, 존립 자체를 심각하게 흔들고 있다. 그렇다고 ‘언론 패싱’이 저널리즘의 본래 가치인 진실과 양심까지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길은 하나다. 어떤 상황에서도 진실을 버리지 않는 모습으로 국민의 믿음을 되찾을 때에만 언론도 설 자리를 가지게 될 것이다.
2018-05-30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