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70세 넘어야 노인” “자녀 없이도 산다” 확 바뀐 노후 인식

“70세 넘어야 노인” “자녀 없이도 산다” 확 바뀐 노후 인식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18-05-24 17:48
업데이트 2018-05-24 19: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17 노인실태조사

노인 86% “노인 기준 70세”
10년 전보다 18%P 높아져
“자녀와 살고싶다” 절반으로 뚝
91% “무의미한 연명치료 반대”
이미지 확대
인구 고령화로 우리나라 노인 10명 중 9명은 노인 기준을 ‘70세 이상’으로 보고 있다. 또 핵가족화로 자녀와 동거하는 비율은 10명 중 3명에 그쳤다. 노후 생활비는 국가의 도움을 받거나 본인 스스로 마련해야 한다는 인식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4~11월 65세 이상 노인 1만 299명을 대상으로 노인실태조사를 진행해 24일 결과를 발표했다. 복지부는 노인복지법에 근거해 3년마다 노인실태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노인 86.3%는 노인 연령 기준을 ‘70세 이상’으로 인식했다. ‘70~74세’가 59.4%로 가장 많았고, ‘75~79세’(14.8%), ‘80세 이상’(12.1%) 등의 순이었다. 노인 기준을 70세 이상으로 보는 비율은 2008년 68.3%에서 18.0% 포인트 높아졌다.

지난해 조사대상 가구의 72.0%는 노인부부 가구(48.4%)나 독거 가구(23.6%)였다. 자녀와 함께 사는 비율은 23.7%에 그쳤다. ‘노년기에 자녀와 동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응답은 2008년 32.5%에서 지난해 15.2%로 10년 새 절반 이상 감소했다. 다만 85세 이상 저소득 노인은 간호 문제, 경제·심리적 불안감 때문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응답이 많았다.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은 점점 약해지고 있었다. 자녀와 주 1회 왕래하는 비율이 38.0%였다.

노후를 자녀에게 기댄다는 응답은 소수였다. 생활비 마련 방법을 묻자 ‘본인 스스로’(34.0%), ‘본인과 국가가 준비’(33.7%), ‘국가 차원’(14.1%)이라고 답했다. ‘노인의 지하철 무임 승차를 유지해야 한다’는 응답도 67.6%나 됐다. 화장 선호도는 2008년 45.6%에서 지난해 71.5%로 큰 폭으로 상승했다. 또 노인의 91.8%는 치료 효과 없이 임종 과정을 연장하는 연명 치료를 반대했다.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노인은 89.5%나 됐다. 다만 흡연율과 음주율이 줄고 운동 실천 비율은 높아져 과거보다 건강에 대한 인식은 개선된 것으로 분석됐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2018-05-25 11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