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내가 살아온 것이 내 깨달음… 간다, 봐라”

“내가 살아온 것이 내 깨달음… 간다, 봐라”

조희선 기자
조희선 기자
입력 2018-05-10 23:06
업데이트 2018-05-11 01: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법정 스님 임종게 등 엮은 ‘간다, 봐라’ 출간

“스님, 임종게를 남기시지요.”

“분별하지 말라. 내가 살아온 것이 그것이니라. 간다, 봐라.”
이미지 확대
법정 스님. 연합뉴스
법정 스님.
연합뉴스
무소유를 설파하며 시대의 스승으로 불려 온 법정(1932~2010) 스님이 세상을 떠나기 직전 남긴 마지막 말은 간명했다. 스님은 속박과 번뇌에서 벗어나는 마지막 순간에도 얽매이지 않는 본연 그대로의 삶과 진정한 자유를 향한 의지를 잊지 않았다.

삶의 가치를 일깨우는 스님의 명징한 글만큼이나 깊은 울림을 주는 이 문장은 스님과 인연이 있었던 한 보살 부부 덕분에 처음 빛을 보게 됐다. 신분 공개를 원치 않는 까닭에 필명 ‘리경’으로 이름을 대신한 이들이 엮은 책 ‘간다, 봐라’(김영사)에는 임종게(고승들이 입적할 때 수행을 통해 얻은 깨달음을 전하는 마지막 말)를 비롯해 스님의 노트와 메모, 미발표 원고 등이 담겼다.

리경 부부는 오래전 미국 생활을 마치고 귀국해서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간직한 장소를 물색하다가 화전민이 살던 강원도 산골 오두막을 마련했다.

수년 후 부부와 알고 지내던 법정 스님이 움막을 구경하러 왔다가 한 번 둘러보고 “이 오두막은 부처님께서 내 말년을 위해 감추어 놓은 회향처”라며 마음에 뒀다.

부부는 그 자리에서 스님에게 오두막을 시주했고, 이곳이 바로 법정이 1992년부터 기거하며 정진한 오대산의 ‘수류산방’이다. 부부는 이를 계기로 스님이 입적하는 순간까지 곁을 지키며 각별한 인연을 유지했다.

김영사 관계자는 “스님이 열반하신 이후 지금까지 임종게가 알려지지 않은 건 이 부부가 스님의 말이 외부에 공개되는 순간 혹시라도 그 내용이 왜곡될까 봐 우려했기 때문”이라면서 “주변 사람들로부터 이제는 스님이 남긴 정신과 뜻을 대중에게 알리는 것이 좋겠다는 조언을 들은 부부가 스님의 말과 글을 정리해 책으로 엮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
임종게 외에도 스님이 1970년대 민주화 운동 당시 썼던 저항시 3편 ‘어떤 몰지각자의 노래’, ‘쿨룩 쿨룩’, ‘1974년의 인사말’도 처음 공개됐다. 엮은이 부부가 2008년 스님이 버린 상자 속에 든 원고 뭉치를 간직했던 덕분이다.

부부는 책 말미에 “스님은 정갈하고 대쪽 같은 성품이시라 필요치 않은 것은 곁에 두지 않았다. 버리고 또 버리셨다”면서 “수시로 아궁이에 불쏘시개로 태우면서 ‘버리는 것이 나의 취미’라고 하실 정도로 당신의 소유물을 엄격히 제한했다”고 회고했다.

리경 부부는 30여권에 달하는 스님 저서가 절판된 현실도 안타깝게 여겼다. 부부는 “스님의 청빈과 무소유 정신이 젊은 세대들에게 절판으로 인해 전달되지 않는다는 것은 크나큰 손실이 아닐 수 없다”며 “올곧게 살아가고자 하는 이 시대의 모든 분들께 한 송이 연꽃을 피워 올린 이 책을 통해 큰 위로와 격려가 되었으면 하는 마음이 간절하다”고 전했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2018-05-11 27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