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확인된 ‘비서실장’ 김여정의 존재감

확인된 ‘비서실장’ 김여정의 존재감

입력 2018-04-27 12:12
업데이트 2018-05-03 10: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가장 가까이에는 늘 동생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이 있었다. 사실상 비서실장의 역할을 수행했다. 김 위원장에게 필요한 물건을 건네거나, 김 위원장의 회담 발언을 적는 일 모두 김 부부장의 몫이었다.
이미지 확대
김정은 위원장과 김여정 부부장
김정은 위원장과 김여정 부부장 김정은(왼쪽) 북한 국무위원장이 27일 경기 파주시 판문점 평화의 집에서 열린 2018 남북정상회담에서 자리에 앉고 있다. 오른쪽은 김여정 당 중앙위 제1부부장. 2018.4.27
연합뉴스
27일 판문점에서 열린 남북정상회담에 참석한 김 제1부부장은 회색 정장차림으로 등장했다. 그는 김 위원장이 우리 화동들로부터 받은 꽃다발을 건네받아 주는 모습이 눈길을 끌었다.

김 제1부부장은 김 위원장이 북측 판문각을 나와 군사분계선을 향해 걸어올 때에는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중계 카메라가 비추기 전 미리 남측으로 건너왔던 것으로 보인다.
이미지 확대
김여정  북한 당중앙위원회 제1부부장이 27일 판문점 자유의 집 앞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으로부터 꽃다발을 건네받고 있다. 2018. 04. 27 연합뉴스
김여정 북한 당중앙위원회 제1부부장이 27일 판문점 자유의 집 앞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으로부터 꽃다발을 건네받고 있다. 2018. 04. 27 연합뉴스
김 제1부부장은 의장대 사열 행사가 진행되는 동안에도 북측의 다른 공식수행원들과 함께 있지 않고, 김창선 국무위원회 부장과 함께 김정은 위원장을 비교적 근거리에서 따라갔다.

김 제1부부장은 김정은 위원장이 회담장인 판문점 평화의집에 도착해 방명록을 쓸 때도 뭔가 갖다 주는 듯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이번 정상회담에서도 사실상 김정은 위원장의 일거수일투족을 보좌하는 역할을 맡은 것으로 보인다.

생중계 화면에 비친 김 제1부부장이 한쪽 손에 가방을 들고 문서처럼 보이는 물건을 팔에 끼고 있는 모습이 눈에 띄었다.
이미지 확대
[남북정상회담] 함께 가는 길
[남북정상회담] 함께 가는 길 문재인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7일 오전 판문점에서 열린 정상회담을 위해 평화의 집으로 들어서고 있다.
남북 정상 뒤를 김영철 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과 김여정 당 중앙위 제1부부장이 뒤따르고 있다. 2018. 4.27
연합뉴스
지난 평창동계올림픽 개회식 당시 김 위원장의 특사로 방남했던 김 제1부부장은 이날 다른 북측 공식수행원들보다 유난히 밝게 웃으며 문재인 대통령과 악수하기도 했다.

이번 정상회담 준비 과정에서 김 위원장의 의전 관련 사항을 총괄했던 김창선 국무위 부장도 이날 김 위원장을 보좌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평화의 집으로 들어가는 상황에서, 김영철 당 부위원장과 김여정 제1부부장이 따라가다 카메라 앵글에 잡히자 김창선 부장이 김영철과 김여정을 앵글 밖으로 빼내는 모습도 눈에 띄었다.
이미지 확대
김여정과 악수하는 문재인
김여정과 악수하는 문재인 한국공동사진기자단 =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7일 판문점에서 공식환영식이 끝나고 문대통령이 북측 수행원들과 인사를 하고 있다. 남과 북 양 정상은 이날 세계 유일 분단국가의 상징인 판문점 한반도 비핵화, 종전 선언을 포함한 평화체제 구축, 남북관계 개선 등 한반도의 운명이 걸린 의제를 논의한다. 2018.4.27
뉴스1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첫 남북정상회담에는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과 김여정 당 제1부부장 등 ‘한반도의 봄’을 가져온 당사자 2명만 배석했다.

김 위원장의 첫 정상회담에 이들이 배석한 것은 향후 남북관계와 비핵화, 평화체제 전 과정에서 막중한 역할을 할 것임을 시사하면서 이들 문제에 대한 밀도있는 회담을 예상케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김 제1부부장의 회담 배석은 그가 단순히 김 위원장의 동생으로서 상징적 로열패밀리가 아니라 권력의 핵심이자 김 위원장의 파트너로서 정책결정과 실행 전과정에서 중요한 목소리를 내고 있음을 보여준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