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역대 최대 취재진 3000여명… 휴가 내고 구경 온 시민 ‘북적’

역대 최대 취재진 3000여명… 휴가 내고 구경 온 시민 ‘북적’

기민도 기자
입력 2018-04-26 22:16
업데이트 2018-04-2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27회담 메인프레스센터 표정

취재 등록 24일까지 2850명 마쳐
단상 앞에 1300여석 기자석 마련


현장 찾은 어린이기자단 30명
“정상회담 넘어 통일까지 갔으면”


대동강 솔향 등 통일향수전 열려
실향민들 고향 추억 향기로 느껴


“정상회담으로 끝내지 말고 통일까지 가즈아.”
11년 만의 남북 정상회담을 하루 앞둔 26일 경기 고양 전시·컨벤션센터 킨텍스에 마련된 남북 정상회담 메인 프레스센터에서 수많은 국내외 기자들이 부산하게 취재 준비를 하고 있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11년 만의 남북 정상회담을 하루 앞둔 26일 경기 고양 전시·컨벤션센터 킨텍스에 마련된 남북 정상회담 메인 프레스센터에서 수많은 국내외 기자들이 부산하게 취재 준비를 하고 있다.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26일 경기 고양 킨텍스의 남북 정상회담 메인 프레스센터를 찾은 통일부 어린이기자단 안효건(12)군은 어떤 회담 결과가 나오길 기대하느냐는 질문에 이렇게 답했다. 안군은 “한 민족이 두 나라로 분단돼 있는데도 많은 사람이 평화통일에 관심이 없는 것 같다”면서 “통일을 염원하는 마음에서 통일부 어린이기자단이 됐다”고 소개했다. 파란색 티셔츠를 똑같이 맞춰 입은 30여명의 어린이기자단은 프레스센터 곳곳을 둘러봤다. 취재진도 어린이기자단의 방문에 잠시나마 잔뜩 굳어 있었던 인상을 펴고 긴장감을 내려놓을 수 있었다.

프레스센터는 전 세계에서 온 언론인들의 취재 열기로 가득했다. 휴가를 내고 자녀를 데리고 킨텍스를 찾은 김호섭(44)씨는 “외국에서 이 정도로 관심이 있는 줄 몰랐는데 한반도의 안보와 평화가 대외적으로 얼마나 중요한지를 몸소 느낀다”면서 “한편으로는 외신에서 이렇게 관심을 보이는 것이 분단국가라는 우리의 현실을 보여 주는 것 같아 씁쓸한 느낌도 든다”고 말했다. 아버지와 함께 프레스센터를 찾은 김재민(9)군은 “외국에서 온 기자들이 우리나라의 문제에 많은 신경을 써 줘서 고맙다”며 “생큐”를 외쳤다.

메인프레스센터인 킨텍스 3홀에는 역대 최대 규모의 취재진이 몰려들었다. 남북 정상회담 공식 슬로건인 ‘평화, 새로운 시작’이란 문구가 걸린 단상 앞에는 1300여석의 내외신 기자석이 마련됐다. 현장을 찾은 수천명의 취재진은 상기된 표정으로 기사를 쓰거나 청와대의 브리핑을 듣는 데 열중했다. 남북 정상회담 준비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25일 기준으로 360개 언론사 소속 기자 2850명이 취재 등록을 마쳤다. 내신은 176개사 1981명, 외신은 총 36개국 184개사 869명이다. 정상회담 당일 현장에서 등록하는 취재진 수를 더하면 3000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에도 ‘프레스 배지’ 발급 데스크 앞에는 현장 등록을 하려는 취재진의 대기줄이 길게 이어졌다.

프레스센터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자원봉사자도 대거 투입됐다. 이날 방송 중계석과 방송사 전용 부스 등으로 구성된 국제방송센터(IBC) 헬프데스크를 담당하던 자원봉사자 오지현(22·서울대 정치외교학과)씨는 “정상회담이 시작되는 역사적인 순간에 이 소식을 가장 먼저 접하는 첫 공간인 프레스센터에서 함께하게 돼 기쁘다”면서 “좋은 소식이 잘 알려질 수 있도록 취재진을 적극 돕고 있다”고 말했다.

센터 한편에는 통일부에서 마련한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통일향수전(統一鄕水展)’이 열렸다. 북한이 고향인 고령의 이산가족 5명의 추억을 바탕으로 전문 조향사가 향을 제작했다. ‘평안남도 대동강 솔 향’, ‘황해도 해주 바다내음 향’ 등 5개의 향수는 실향민들이 고향에 대한 추억을 후각으로 느낄 수 있게 했다.

센터 입구에 전시된 한반도기 모양의 조형물에는 전 세계 838명이 43개의 언어로 남북 정상회담에 대한 소망을 적은 메모지가 붙어 있다. 베네딕트 윙클러는 “긴장 상태를 완화하고 친밀한 관계를 만들 수 있는 명확한 방안을 찾을 수 있기를 바란다”면서 “통일뿐만 아니라 나아가 남과 북이 화합하고 성장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가 돼야 한다”고 적었다.

기민도 기자 key5088@seoul.co.kr

이하영 기자 hiyoung@seoul.co.kr
2018-04-27 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