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말빛 발견] 표준어와 문화어

[말빛 발견] 표준어와 문화어

이경우 기자
입력 2018-04-25 17:12
업데이트 2018-04-25 18: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표준어는 서울을 중심으로 한 말이다. 일제강점기인 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이 나온 이래 지금까지도 그렇다. ‘서울’은 정치와 경제의 중심일 뿐만 아니라 언어의 중심지 구실도 해 왔다. ‘서울말’은 언론, 출판, 교육 등 공적인 공간은 물론 그 이상까지 영향을 주고 있다. 북한은 ‘표준어’가 마뜩지 않았다. 분단 이후 ‘표준어’ 대신 ‘문화어’를 만들어 간다.

북한은 정권 초기부터 적극적인 언어 정책을 펼쳤다. 사전 편찬, 한글전용, 철자법 개정을 비롯해 문맹퇴치운동까지 벌인다. 중심에는 월북 국어학자들인 김두봉·이극로·홍기문 같은 이들이 있었다. 1966년 5월 김일성 주석의 ‘조선어의 민족적 특성을 옳게 살려 나갈 데 대하여’라는 담화 이후 더 강력해진다. ‘문화어’라는 말도 이를 계기로 만들었다.

문화어는 ‘평양말’이 중심이었다. 남한의 표준어가 아니라 독자적인 공용어를 확립한다는 의미를 뒀다. 계층적으로는 노동계급의 말을 기본으로 한다. 민족어, 혁명성, 주체적 언어 사상 등이 강조된다. 상대적으로 고유어를 많이 포함하고, 통용되는 방언을 적극 수용한 측면이 있다.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조선말 맞춤법’은 문화어를 적는 규정이다. ‘두음법칙’, ‘사이시옷’, ‘ㅣ’ 모음 뒤 ‘어’와 ‘여’ 표기, 자음 순서 같은 것들에서 크게 충돌한다. 그러나 둘 다 ‘한글 맞춤법 통일안’에 뿌리를 둔다.

이경우 어문팀장
2018-04-26 29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