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文대통령,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제안할 듯

文대통령,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제안할 듯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18-04-25 22:24
업데이트 2018-04-25 23: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남북 정상, 각본 없는 회담 준비

연락사무소 장소 판문점 가능성
회담 정례화·이산상봉 제의 검토


‘각본 없는 드라마’인 남북 정상회담 무대에 오를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회담 전날인 26일 불면의 밤을 보낼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지난 24일 오전 국무회의를 마지막으로 모든 일정을 비웠다. 27일 비핵화 담판 준비에 온 힘을 쏟겠다는 의지다. 청와대는 남측이 제의할 내용과 북측의 관심사항 등 회담 테이블에서 나올 수 있는 모든 사안을 정리해 문 대통령에게 전달했다. 25일 점심도 여민관 구내식당에서 간단히 해결했다. 이날 식후 산책하다 마주친 ‘온라인 청와대’ 영상기록팀에 “(정상회담) 잘할게요”라는 메시지를 남기기도 했다.
이미지 확대
2000년 6월 13일 첫 남북 정상회담을 위해 북한을 방문한 김대중 당시 대통령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평양 순안공항에서 만나 악수를 하고 있다. 서울신문 DB
2000년 6월 13일 첫 남북 정상회담을 위해 북한을 방문한 김대중 당시 대통령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평양 순안공항에서 만나 악수를 하고 있다.
서울신문 DB
정상회담이 청와대가 준비한 시나리오대로 진행된다는 보장은 없다. 2000년 남북 정상회담 때도 정치·경제·군사·사회문화 등 분야별 의제를 정리한 여러 버전의 합의문 초안을 준비해 갔다. 하지만 실제 합의문은 현장에서 오간 양 정상 간 대화를 토대로 작성됐다. 그 선례를 따른다면 회담의 성패가 오로지 문 대통령의 외교 역량에 달렸다.
이미지 확대
두 번째 남북 정상회담이 열린 2007년 10월 4일 노무현 당시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평양 백화원 영빈관에서 열린 환송오찬에서 건배를 하고 있는 모습. 서울신문 DB
두 번째 남북 정상회담이 열린 2007년 10월 4일 노무현 당시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평양 백화원 영빈관에서 열린 환송오찬에서 건배를 하고 있는 모습.
서울신문 DB
2007년 남북 정상회담도 우여곡절이 많았다. 방북 첫날 김영남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을 만난 뒤 노무현 전 대통령은 “벽이 너무 두꺼워 한 가지나 합의할 수 있을지 눈앞이 캄캄했다”고 회고했다. 다음날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오전 회담을 하던 중에 노 전 대통령은 “이렇게 하면 점심 먹고 짐 싸서 가야 될지도 모르겠다”고 뼈 있는 농담을 던지기도 했다.

북한이 비핵화 의지를 적극적으로 내비쳐 출발은 일단 순조롭지만, 정작 회담장 안에서 무슨 일이 벌어질지 몰라 청와대는 바짝 긴장하고 있다. 청와대는 이날 “남북 정상회담 의제 보도는 남북 간 협의와 회담에 영향을 줄 수 있으니, 여권 관계자나 정부 소식통 이름으로 보도하는 것을 자제해 달라”고 공지하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회담에서 김 위원장에게 남북 공동연락사무소를 두는 방안을 제안할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공동사무소는 한반도 긴장완화 등을 위해 충분히 좋은 일이라고 본다”며 “서울이나 평양보다는 판문점일 가능성이 클 것”이라고 말했다. 한반도 비핵화와 종전선언, 남북관계 개선 등 3대 의제 외에 남북 정상회담 정례화,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 올해 8·15 기념행사를 남북한이 함께 치르는 방안 등도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중동 행보를 보이는 문 대통령과 달리 한동안 잠행하던 김 위원장은 분주하게 공개 행보를 하고 있다. 조선중앙통신은 최근 북한에서 발생한 중국인 관광객 교통사고 사망 사건으로 김 위원장이 북한 주재 중국대사관을 찾아가 위로하고 같은 날 저녁에는 입원한 부상자들을 찾았다고 보도했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8-04-26 2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