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짝짝이 팔 브레드맨, 편견에 빠진 세상을 구하라

짝짝이 팔 브레드맨, 편견에 빠진 세상을 구하라

이근아 기자
입력 2018-04-24 23:52
업데이트 2018-04-25 21: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그대로 괜찮은 쿠키’ 장애인 위로한 김동길·김장한씨

한쪽 팔과 한쪽 다리가 살짝 짧은 ‘진저브레드맨’(생강으로 향을 낸 사람 모양의 과자). 다음달 창업을 앞둔 한 프로젝트 모임에서 만든 ‘그대로 괜찮은 쿠키’라는 이름의 이 쿠키는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상징한다. 모양이 익숙하지 않을 뿐 똑같이 맛있는 쿠키라는 사실을 통해 장애는 다름일 뿐 틀림이 아니라는 메시지를 전한다.
이미지 확대
‘그대로 괜찮은 쿠키’ 캠페인을 기획한 김장한(왼쪽), 김동길씨가 경기 수원의 한 초콜릿 공방에서 쿠키를 만들며 웃고 있다.  ‘그대로 괜찮은 쿠키’ 제공
‘그대로 괜찮은 쿠키’ 캠페인을 기획한 김장한(왼쪽), 김동길씨가 경기 수원의 한 초콜릿 공방에서 쿠키를 만들며 웃고 있다.
‘그대로 괜찮은 쿠키’ 제공
지난해 크리스마스 시즌에 크라우드 펀딩으로 목표 매출액(100만원)의 10배를 초과 달성한 ‘그대로 괜찮은 쿠키’가 올해 장애인의 날(4월 20일)을 맞아 다시 세상에 나왔다. ‘그대로 괜찮은 쿠키’ 캠페인을 기획한 김동길(27)씨와 김장한(27)씨를 지난 22일 서울 서초구의 한 카페에서 만났다.
이미지 확대
두 사람은 “지난해 11월 초 ‘모양이 조금 다른 쿠키’로 장애인들의 추운 겨울을 위로하고 싶었다”며 운을 뗐다. 지역 주민들에게 특수학교 설립을 호소하며 무릎까지 꿇은 어머니들의 사연이 화제가 된 지 약 두 달 만의 일이었다. 동길씨는 “흉내가 아니라 비유라는 게 중요했다”면서 “쿠키를 볼 때 ‘조롱의 표현 아니냐’는 시선이 있을까 봐 오래 고민했다”고 했다. 실제로 캠페인을 함께 진행하기로 한 장애인재단은 실행 하루 전날 거절 의사를 밝혔다. 팔과 다리가 짧은 쿠키에 대한 부정적 시각이 우려된다는 이유였다. 우여곡절 끝에 한국장애인재단이 “이런 쿠키 모양이 민감하게 받아들여지는 것 자체가 문제”라는 취지에 공감하면서 쿠키가 세상에 나올 수 있었다.

결과는 성공적이었다. 지난해 12월 1일부터 약 2주간 진행한 펀딩을 통해 재료비를 뺀 수익금 488만원을 벌었고, 전액을 한국장애인재단에 기부했다. 장애 아동들과 함께 크리스마스 파티도 열었다. 지난해 호응에 힘입어 올해도 오는 27일까지 시즌2 크라우드 펀딩을 진행 중이다.

두 사람은 캠페인을 통해 대중의 편견을 깨고 있다. 2016년 8월 리우패럴림픽 때는 휠체어를 타고 패럴림픽에 출전한 선수들의 모습을 형상화한 홍보 스티커를 지하철 역에 붙였고 ‘세상이 투표로 바뀔 리 없다’는 편견을 깨기 위해 선거 독려 캠페인도 진행했다.

현재 두 사람은 미혼모와 실종 아동과 관련한 캠페인을 구상하고 있다. 이들은 연간 200여명의 아기가 유기된다는 베이비 박스에 주목했다. 동길씨는 “미혼모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 인식으로 미혼모는 자신의 아이를 키우는 대신 버리는 것을 선택할 수밖에 없다”며 캠페인의 의도를 설명했다.

두 사람은 자신들을 캠페인 크리에이터라고 규정한다. 다음달 초 ‘D-1’이라는 이름의 공익 캠페인 스타트업을 창업해 강남구 청년창업지원센터에 입주할 예정이다. 그들의 D-Day(디데이)는 자신들의 캠페인으로 세상이 변하는 날이다. 장한씨는 “점점 더 나아지는 내일을 기대하는 오늘이라는 의미”라면서 “바뀔 수 있고 바뀔 거라는 희망을 이름에 담고 싶었다”고 말했다.

대학교 졸업을 앞둔 두 사람은 안정된 직장을 찾는 대신 스타트업 창업, 그것도 돈이 될까 싶은 공익 캠페인에 뛰어들었다. “미래가 불안하지는 않나”는 질문에 장한씨는 “수익이 나서가 아니라 결국 수익이 돼야 하는 일이기에 시작했다”면서 “공익적인 일도 돈이 되는 생태계를 만들고 싶다”고 답했다. 동길씨도 “착한 일로도 돈을 벌 수 있다는 걸 증명하고 싶다”면서 “우리 뜻에 공감하는 사람들이 늘어난다면 결국 세상은 바뀌지 않을까”라며 포부를 드러냈다.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이근아 기자 leegeunah@seoul.co.kr
2018-04-25 25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