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영미의 노래하기 좋은 계절] 벚꽃을 아름답게 노래할 수 있는 세상

[이영미의 노래하기 좋은 계절] 벚꽃을 아름답게 노래할 수 있는 세상

입력 2018-03-26 17:52
업데이트 2018-03-26 18: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영미 성공회대 대우교수·대중예술평론가
이영미 성공회대 대우교수·대중예술평론가
그래도 봄은 왔다. 혹독한 추위가 언제 지날까 싶었고 매일처럼 터지는 사건들에 하늘 쳐다볼 여유조차 없었지만, 그래도 어김없이 봄은 왔고 꽃은 핀다. 물론 이상기후로 꽃 개화 시기 예측이 힘들어 1년 전부터 날짜 잡아 놓고 꽃축제 준비하던 사람들이 전전긍긍하는 일이 잦아지긴 했다. 꽃도 사람도 고생하는 세상이 됐지만, 그래도 계절 따라 어김없이 꽃은 핀다.

산수유부터 시작한 꽃 소식은 4월 초 벚꽃에서 절정을 이룬다. 산수유가 ‘이제 드디어 봄꽃 시작이에요’라고 요란 떨지 않고 은은히 알린다면, 벚꽃은 온 세상을 뒤집을 듯 화려하게 피어오른다. 연분홍 꽃이 하늘을 뒤덮고 함박눈처럼 흩날리는 풍경은 ‘이래도 가슴이 들뜨지 않을 테냐?’라며 한껏 과시하는 듯하다.

하지만 벚꽃은 오랫동안 대중가요의 주인공이 되기 어려웠다. 일본의 국화이기 때문이다. 물론 일제강점기에는 다르다. 이런 노래가 나올 수 있었다.

“여기도 사쿠라 저기도 사쿠라 / 창경원 사쿠라가 막 피어났네 / 늙은이 젊은이 우글우글 우글우글 / 얼씨구 좋다 음 꽃시절일세 헤이헤이 / 처녀 댕기는 갑사(甲紗)나 댕기 / 총각 조끼는 인조견 조끼 / 밀어라 당겨라 잡아라 놓아라 / 두둥실 흥흥 꽃이로구나 라라라라 / 일천간장(一千肝腸) 다 녹이는 꽃이로구나”-김정구 ‘앵화폭풍’ 1절(1938, 조명암 작사, 박시춘 작곡)

왕궁을 짓밟고 동물원과 놀이공원을 만들고 자기네 국화인 벚꽃을 심은 일제의 악의적인 의도가 자명함에도 불구하고 이 노래는 이에 대한 분노나 비판 의식을 드러내지 않는다. ‘창경원’ 벚꽃놀이를 칭송한 것은 아니지만 숨겨진 비판의 태도도 그리 뚜렷하게 보이지 않는 노래다.

하지만 광복 후에는 이런 노래가 나올 수 없었다. 당시에는 꽤 유명했던 ‘앵화폭풍’도 당연히 해방 후에는 불리지 않았다. 이 노래의 2절에는 신신애의 ‘세상은 요지경’에 나오는 ‘영감 상투는 비틀어지고 마누라 신발은 도망을 쳤네’라는 구절이 있는데, 대중가요 시장에서 사라진 노래가 오랫동안 구전되다가 다른 노래 속에 뒤섞여 버린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고 현실 속의 ‘사쿠라’가 사라진 것은 아니다. 1960~70년대만 해도 봄마다 ‘창경원’의 벚꽃놀이 소식은 단골 기사였고, 그다지 심각한 비판을 드러내지도 않았다. 단 대중가요까지 벚꽃의 아름다움을 칭송할 수는 없었던 셈이다. 예전에는 물론 지금까지도 ‘사쿠라’라는 말은 아주 나쁜 어감의 말이지 않은가.

시인 김지하는 ‘오적’(五賊)을 발표한 이듬해인 1971년 ‘앵적가’(櫻賊歌)를 발표하기도 했다. ‘사쿠라 도둑’의 노래라는 뜻의 이 작품은 1965년 한ㆍ일 수교 이후의 일본 경제침략과 기생관광 등을 풍자한 작품이다. 이런 시대에 그저 순진하게 벚꽃의 아름다움을 노래하는 대중가요를 발표할 강심장은 없었다.

광복 후 무려 70년이 가까워지면서야 비로소 우리는 벚꽃의 아름다움을 노래하는 작품을 마음 편히 즐길 수 있게 됐다.

“그대여 그대여 그대여 그대여 그대여 / 오늘은 우리 같이 걸어요 이 거리를 / 밤에 들려오는 자장노래 어떤가요 오 예 / 몰랐던 그대와 단둘이 손잡고 / 알 수 없는 이 떨림과 둘이 걸어요 / 봄바람 휘날리며 흩날리는 벚꽃 잎이 / 울려 퍼질 이 거리를 우 우 둘이 걸어요 / (하략)”-버스커버스커 ‘벚꽃 엔딩’(2012, 장범준 작사·작곡)

이 노래의 하이라이트는 ‘봄바람 휘날리며…’ 부분이다. 정신이 아득해질 정도로 꽃잎이 날리는 장면, 눈 내린 듯 하얘진 거리의 황홀함을 잘 살리고 있기 때문이다. 장범준의 노래에서는 유달리 고음으로 휙 치닫는 선율이 많이 등장하는데, 이런 선율이 꽃잎 흩날리는 거리에서 느끼는 붕 뜨는 느낌과 아주 잘 어울린다.

벚꽃 아름답다고 노래하기까지, 참 오래도 걸렸다.
2018-03-27 30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