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부모의 무관심이 아이 유전자를 바꾼다

부모의 무관심이 아이 유전자를 바꾼다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18-03-23 14:23
업데이트 2018-03-23 14: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美솔크연구소 연구팀 “어려서 경험이 뇌 해마 영향 미쳐”

사람들이 보이는 행동과 특성, 성격은 유전자(본성) 때문인지, 환경(양육)에 따른 결과인지에 대해서는 고대부터 현대까지 철학자는 물론 과학자들에게도 숙제로 남아있다.
인간의 행동은 본성일까, 양육일까라는 문제는 오랫동안 논란이 됐던 문제다. 미국 연구진이 환경결정론에 무게를 싣는 연구결과를 발표해 주목받고 있다. 미국 사이콜로지 투데이 제공
인간의 행동은 본성일까, 양육일까라는 문제는 오랫동안 논란이 됐던 문제다. 미국 연구진이 환경결정론에 무게를 싣는 연구결과를 발표해 주목받고 있다.
미국 사이콜로지 투데이 제공
이런 상황에서 미국 생물학자들이 환경결정론에 무게를 싣는 연구결과를 발표해 주목받고 있다.

미국 솔크생물학연구소 유전학연구실 연구팀은 어미 양육태도와 환경에 따라 새끼의 DNA가 변한다는 연구결과를 세계적인 과학저널 ‘사이언스’ 23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 앞서 2005년에 포유류 뇌에 있는 특정 유전자가 유전정보를 게놈의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이동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점프 유전자’로 이름붙인 L1유전자는 유전정보를 새로운 위치로 복사하거나 붙여넣기를 하는 것으로 연구팀이 밝혀냈다.

연구팀은 생쥐를 이용해 어미와 새끼간 친근감이 유전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관찰했다. 연구팀은 어미 쥐가 새끼 쥐를 얼마나 많이 핥아주고 돌봐주는지를 살펴보고 새끼 쥐에게서 L1 유전자 발현 정도를 확인했다.

그 결과 좀 더 세심한 보호를 받은 생쥐의 해마에서 L1 유전자의 발현이 적게 나타났으며 두뇌의 유전적 다양성이 더 풍부한 것을 발견했다. 제대로 돌봄을 받지 못한 새끼의 해마에서는 복사된 L1 유전자가 더 많이 발견됐다. L1 유전자가 많이 나타난다는 것은 똑같은 유전자가 복사돼 여러 곳에 붙여넣어짐으로써 뇌 구조나 뇌신경회로가 단순해진다는 설명이다.

연구팀은 L1 축적이 뇌의 해마에서 많이 나타나고 뇌의 다른 부위나 신체조직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도 발견했다. 해마는 환경 자극에 민감하고 감정, 기억 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뇌 부위다.
엄마의 양육태도가 아이 뇌의 DNA를 변화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부모에게 돌봄을 받은 아이보다 방치되거나 학대된 아이들은 뇌에서 유전자 이동이 훨씬 많이 된다는 설명이다. 그림에서 L1 유전자(녹색)가 많이 이동된 생쥐의 해마 세포의 모습. 유전자 이동이 많아 핵이 파란색으로 얼룩덜룩해져 있다. 미국 솔크생물학연구소 제공
엄마의 양육태도가 아이 뇌의 DNA를 변화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부모에게 돌봄을 받은 아이보다 방치되거나 학대된 아이들은 뇌에서 유전자 이동이 훨씬 많이 된다는 설명이다. 그림에서 L1 유전자(녹색)가 많이 이동된 생쥐의 해마 세포의 모습. 유전자 이동이 많아 핵이 파란색으로 얼룩덜룩해져 있다.
미국 솔크생물학연구소 제공
연구자들은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어린 시절 환경이 사람의 뇌 발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알 수 있게 해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뇌 유전자의 변화나 미세조정이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지만 우울증, 조현병 같은 신경정신질환은 물론 사이코패스 같은 정신장애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트레이시 베드로시안 박사는 “그동안 많은 사람들이 DNA는 안정적이며 변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었지만 이번 연구로 DNA도 환경 변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게 됐다”며 “변화된 DNA가 기능적으로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를 통해 밝혀낼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그렇지만 미국 컬럼비아대 의대에서 뇌를 연구하고 있는 카이스트 출신 한국인 과학자 송새라 박사와 캘리포니아 샌디에고대(UC샌디에고) 의대에서 아동 뇌질환을 연구하는 조셉 그리슨 교수는 “L1은 설치류의 뇌에서 활발하게 나타난다”며 이번 연구결과를 사람에게 직접 연관시켜 이해하는 것은 무리라고 평하기도 했다. L1 관련 활성요소들이 설치류 게놈에서는 3000~4000개 정도 나타나지만 인간 게놈에서는 80~100개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