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첫인상 겸손한 한국 청년들, 스스로 적극 세일즈하라”

“첫인상 겸손한 한국 청년들, 스스로 적극 세일즈하라”

이경주 기자
이경주 기자
입력 2018-03-18 22:36
업데이트 2018-03-18 23: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5월 부임’ 김효은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 사무차장

“한국 청년과 처음 일하는 국제기구 과장들은 첫인상이 너무 겸손해서 다소 걱정된다고 해요. 하지만 곧 특유의 책임감, 성실함, 팀워크에 놀라고 같이 일하고 싶어 합니다. 자신 있게 도전하고 스스로를 적극적으로 세일즈하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이미지 확대
국제기구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 사무차장에 선발된 김효은 주세네갈 대사가 지난해 2월 한국대학생봉사단이 봉사 활동을 수행한 세네갈 카올라크를 방문한 뒤 현지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주세네갈 대사관 제공
국제기구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 사무차장에 선발된 김효은 주세네갈 대사가 지난해 2월 한국대학생봉사단이 봉사 활동을 수행한 세네갈 카올라크를 방문한 뒤 현지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주세네갈 대사관 제공
국제기구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 사무차장(녹색성장 기획·이행 부문)에 최근 여성 최초로 선발돼 오는 5월 초 부임하는 김효은(51) 주세네갈 대사는 18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국제기구 근무 경험에 빗대 “한국 청년들은 스스로의 생각보다 국제적인 경쟁력을 훨씬 더 많이 갖추고 있다”고 밝혔다.

GGGI 사무차장은 사업국 간 협력 및 사업 수행을 책임지는 최고위직이다. 그는 외교부 공무원으로 기후변화·환경·국제기구 등 다자협력 분야를 다뤄 온 전문가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유엔대표부 등에서 근무했고 2013년부터 2년간 GGGI 기획정책국장으로 근무하며 초기 발전에 기여했다.
이미지 확대
김효은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 사무차장
김효은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 사무차장
김 대사는 “개인의 희생을 강요하면 안 되지만, 팀이 바쁠 때는 휴가를 조정하거나 조직을 위해 개인 생활을 일정 선까지 양보하는 한국적인 모습도 경쟁력으로 작용했다”며 “다만 높은 연봉 때문에 국제기구를 택하는 것은 잘못된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국제기구 직원들은 회원국 국민의 세금으로 연봉을 받기 때문에 높은 연봉이나 과도한 혜택을 받도록 허락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 국제기구에 진출하려면 해당 분야에서 인턴이나 계약직 경력을 쌓고, 영어 및 제2외국어를 연마하길 권했다.

김 대사는 GGGI의 첫 여성 사무차장이 된 소감을 묻자 “놀랄 만한 경제 성장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룩한 한국이 하면 뭔가 다를 것이라고 기대하기 때문에 많은 개도국들이 GGGI에 큰 기대를 건다”며 “한국 출신 사무차장으로서 어깨가 무겁다”고 말했다.

GGGI는 한국이 주도해 설립한 첫 번째 국제기구로 서울 중구 정동에 본부가 있다. 2010년 6월 국내 비영리단체로 설립됐다가 2012년 10월 GGGI 설립 협정을 통해 국제기구로 탄생했다. 회원국은 28개국으로 김 대사는 25개국에서 수행 중인 녹색성장 프로젝트를 총괄하고 확대, 발전시키는 역할을 맡는다. 특히 개도국의 녹색성장 국가계획 수립, 친환경에너지 전환, 녹색도시 건설, 산림 보호, 수자원 개발 등을 지원한다. 임기는 오는 5월 4일부터 3년이다.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지난달 GGGI 총회·이사회 의장으로 선출됐다.

김 대사는 “국제기구를 유치하면 해당국이나 도시의 위상이 높아지고, 전 세계의 인재가 모인다”며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해당 이슈를 국제적으로 주도한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에 GGGI와 녹색기후기금(GCF)이 있는 것은 한국이 기후변화 대응과 녹색성장의 국제적 논의를 주도해 나가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라고 강조했다.

김 대사는 또 “GGGI 사무차장으로서 최빈국, 특히 아프리카 국가들이 GGGI와 함께 녹색성장을 위한 의미 있는 행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싶다”며 “폐기물을 연료로 활용해 가난한 사람들도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고, 노후 차량이 대기 오염의 주범이 되지 않도록 대중교통 시스템을 정비하는 방법 등이 있을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2018-03-19 20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