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평창 완전 정복] 스틱 2개·양날 썰매… 박진감 넘치는 ‘퍽’의 감동

[평창 완전 정복] 스틱 2개·양날 썰매… 박진감 넘치는 ‘퍽’의 감동

한재희 기자
입력 2018-03-07 22:50
업데이트 2018-03-08 01: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장애인 아이스하키

아이스하키가 ‘동계올림픽의 꽃’으로 불리듯 장애인 아이스하키도 동계패럴림픽의 최고 인기 종목으로 꼽힌다. 신체적으로 불편한 선수들이 썰매를 타고 경기를 펼치면서 발생하는 차이점을 빼고는 장애인과 비장애인 아이스하키의 규칙은 전반적으로 비슷하다. 그렇다 보니 얼음판을 빠른 속도로 지치며 격렬하게 몸을 부딪치는 모습은 장애인 아이스하키에서도 단골로 등장한다. 박진감과는 거리가 멀지 않을까 생각하며 경기장을 찾은 관중들이라면 입이 떡 벌어질 수 있다.
장애인 아이스하키는 1961년 스웨덴 스톡홀름에 있는 한 스포츠클럽에서 처음 시도된 것으로 알려졌다. 초기에는 골키퍼가 없는 상태로 자전거 핸들로 만든 막대를 스틱으로 이용했다. 1994년 릴레함메르동계패럴림픽 때 ‘아이스슬레지하키’로 정식 종목에 이름을 올렸으며 2016년 11월 명칭이 장애인 아이스하키로 바뀌었다. 한국은 2006년 토리노대회 때 장애인 아이스하키에 첫 출전했다.

장애인 아이스하키는 퍽을 상대 골대에 많이 넣으면 승리하는 방식이다. 18명의 엔트리 선수 중 포워드 3명, 디펜스 2명, 골키퍼 1명이 아이스링크에서 뛴다. 체력 소모가 큰 경기이기 때문에 보통 5명씩 3조로 나눠 번갈아 투입된다. 한 경기는 15분씩 3피리어드로 치러지며 피리어드 사이에는 15분간의 휴식 시간이 있다. 피리어드당 한 번씩 타임아웃도 가능하다. 마지막까지 균형을 깨지 못했을 경우에는 10분의 연장전과 승부치기(슛아웃)를 통해 최종 승자를 결정한다.

비장애인 아이스하키는 스케이트 대신 양날이 달린 썰매를 타고 경기를 한다. 선수들은 다리를 묶은 채 썰매 위에 설치된 의자에 앉아 경기를 펼친다. 썰매를 이용하다 보니 비장애인 아이스하키보다는 훨씬 길이가 짧은 스틱을 이용한다. 2개의 스틱을 양손에 하나씩 쥐고 퍽을 다룰 때는 블레이드(blade) 면을 사용하고 이동할 때는 반대쪽에 달린 픽(pick)을 지지 삼아 전진한다.
첫 경기는 한일전
첫 경기는 한일전 지난 6일 강원 강릉하키센터에서 평창동계패럴림픽 장애인 아이스하키 대표팀 선수들이 코치진으로부터 훈련 설명을 듣고 있다. 한국 대표팀은 오는 10일 일본전을 시작으로 패럴림픽 조별 예선전에 들어간다.
강릉 연합뉴스
평창패럴림픽 장애인 아이스하키는 총 8개국이 두 개조로 나눠 조별리그를 치른다. 각 조 상위 2개국이 4강에 진출한다. A조는 캐나다(1위), 노르웨이(4위), 이탈리아(5위), 스웨덴(6위)으로 이뤄졌다. 세계 랭킹 3위인 한국은 미국(2위), 체코(9위), 일본(10위)과 함께 B조에 속했다.

대한장애인아이스하키협회 관계자는 “한국 대표팀은 세계 최정상급 실력이어서 평창패럴림픽에서는 더욱 박진감 넘치는 경기를 즐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2018-03-08 26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