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갈 곳 없는 돈’ 은행 예금으로 몰린다

‘갈 곳 없는 돈’ 은행 예금으로 몰린다

임주형 기자
임주형 기자
입력 2018-03-06 22:32
업데이트 2018-03-06 23: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작년 예금 사상 첫 1300조 돌파

저금리·금융시장 불확실성 커져
저축성보다 요구불예금 큰 폭↑
경제에 부정적인 신호일 수도

국내 은행에 쌓인 예금이 사상 처음으로 1300조원을 돌파했다. 장기간 지속된 저금리로 시중에 풀린 돈이 갈 곳을 찾지 못해 은행으로 돌아오는 현상이 반복되고 있는 것이다.
이미지 확대
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국내 은행 총예금 잔액은 1305조 5584억원이다. 2016년 6월 1200조원대로 올라선 총예금은 지난해 9월 1294조 6000억원까지 불었다가 잠시 감소세를 보였다. 하지만 11월과 12월 각각 7조원과 12조원 증가해 마침내 1300조원을 넘어섰다.

특히 지난해 12월엔 요구불예금이 6조 6000억원(187조 7000억원→194조 3000억원)이나 늘어 저축성예금 증가 폭 5조 6000억원(1105조 7000억원→1111조 3000억원)을 앞질렀다. 예금주가 원하면 언제든지 넣고 뺄 수 있는 요구불예금은 수신금리가 0.1% 내외로 적금 등 저축성예금에 비해 매우 낮다.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자금이 국내외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요구불예금으로 몰리는 모양새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요구불예금 증가는 시중에 떠도는 부동자금이 그만큼 늘었다는 것으로 경기부양을 위해 풀린 돈이 잘 돌지 않는다는 걸 의미한다”며 “이런 자금이 실물이 아닌 부동산 등 자산으로 쏠리면 거품을 야기할 수 있다”고 말했다.

돈이 흐르지 않는 ‘돈맥경화’ 현상은 다른 지표에서도 확인된다. 지난해 요구불예금 회전율은 19.1회로 집계돼 1986년(18.4회) 이후 31년 만에 가장 낮았다. 예금 지급액을 잔액으로 나눈 값인 회전율은 낮을수록 경제주체들이 예금을 꺼내 쓰지 않았다는 의미다. 저금리 상황에서도 회전율이 낮다는 건 예금을 꺼낼 만한 투자처가 보이지 않는다고 해석된다.

당분간은 은행 곳간에 돈이 비축되는 현상이 계속될 것이란 관측이 많다. 은행들은 요구불예금이 대가를 거의 지불하지 않으면서도 자금을 확보할 수 있는 수단이라 경쟁적으로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잘나가던 증시는 미국발 ‘보복관세’ 여파로 흔들리고 있고, 부동산은 정부의 강도 높은 규제에 묶여 있다. ‘매파’(통화긴축 선호) 성향의 이주열 한은 총재가 연임하면서 기준금리 추가 인상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졌다.

윤석헌 서울대 경영대 객원교수는 “예금에 돈이 몰리는 건 금융사들이 투자자들을 이끌 매력적인 상품을 내놓지 못한 측면도 있다”며 “은행에 돈이 쌓이는 게 무조건 나쁘다고는 할 수 없으나 경제에 부정적인 신호일 수 있다는 건 의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임주형 기자 hermes@seoul.co.kr
2018-03-07 22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