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남북 “4월말 정상회담”… 北최고지도자 첫 남한땅 밟는다

남북 “4월말 정상회담”… 北최고지도자 첫 남한땅 밟는다

임일영 기자
임일영 기자
입력 2018-03-06 23:40
업데이트 2018-03-07 00: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의용 대북 수석특사 브리핑

판문점 남측 평화의 집서 개최
北 “미국과 비핵화 대화 용의
예년 수준 한·미 연합훈련 이해”

트럼프 “北과 대화에서 진전”
정의용·서훈 이르면 내일 訪美
이미지 확대
친서 전달
친서 전달 문재인 대통령의 대북특별사절단 수석특사를 맡은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지난 5일 평양 조선노동당 본관에서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과 악수하고 있다. 김 위원장은 봉황 문양이 뚜렷한 문 대통령의 친서를 들고 있다. 왼쪽 두번째부터 서훈 국가정보원장, 천해성 통일부 차관, 정 실장, 김 위원장, 김여정 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
청와대 제공
남북은 다음달 말 판문점 남측 구역인 평화의 집에서 제3차 남북 정상회담을 열기로 합의했다고 6일 밝혔다. 군사적 긴장완화와 긴밀한 협의를 위해 양측 정상 간 ‘핫라인’을 설치하고, 첫 통화를 3차 정상회담 이전에 갖기로 했다. 6·25전쟁 이후 북한 정상이 남한 땅을 밟는 것은 김 위원장이 처음이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은 특사단에 “비핵화는 선대(김일성·김정일)의 유훈”이라며 비핵화 의지를 사실상 처음으로 밝혔다. 북측은 미국과 비핵화 및 북·미 관계 정상화를 위한 대화에 나서겠다고 밝히고, 대화가 지속되는 한 핵실험 및 탄도미사일 시험발사 등 도발을 중단하는 ‘조건부 핵 모라토리엄(유예)’도 선언했다.
이미지 확대
문재인 대통령의 대북특별사절단 수석특사로 지난 5일 평양을 방문한 뒤 이날 오후 귀국한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방북 결과 언론발표문’에서 이렇게 밝힌 뒤 “남북 정상이 한반도 평화 정착과 남북 관계 발전에 대해 확고한 의지를 갖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정 실장은 브리핑에서 “북한은 군사적 위협이 해소되고 체제 안전이 보장된다면 핵을 보유할 이유가 없다는 점을 명백히 했다”고 밝혔다. 이어 “북측은 핵무기는 물론 재래식 무기를 남측을 향해 사용하지 않을 것임을 확약했다”고 강조했다. 정 실장은 한·미 연합훈련과 관련해 “김 위원장은 ‘북측은 평창올림픽을 위해 연기된 한·미 연합훈련이 예년 수준으로 진행되는 것을 이해한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설명했다. 정부 등은 4월 초로 예정된 한·미 연합훈련이 재개되고 북한이 맞대응하면 지난해와 같은 위기 상황이 재현될 것으로 우려했었다. 다만 김 위원장은 “한반도 정세가 안정적으로 진입하면 한·미 훈련이 조절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1·2차 남북 정상회담이 평양에서 열렸지만, 3차 회담이 판문점 남측 구역에서 열린다는 점은 상징적이다. 정 실장은 “판문점은 분단의 상징이고, 두 차례 회담이 평양에서 열렸던 것과 달리 남측 구역에서 열린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당초 예상보다 훨씬 이른 4월에 열리는 데 대해서는 “북에서 특사 등이 왔을 때 조기 개최 원칙에는 합의했고, 일자는 협의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북한은 북·미 대화를 위한 ‘이면 조건’을 내세우지는 않았다. 정 실장은 “북·미 대화를 시작할 수 있는 충분한 여건이 조성돼 있다”면서 “미국에 전달할 북한 입장을 별도로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정 실장은 이르면 8일 서훈 국정원장과 함께 방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만나 방북 결과를 설명하고 북·미 대화에 나서도록 설득할 계획이다. 정 실장은 또 중국과 러시아를, 서 원장은 일본을 방문해 한반도 주변 4강의 지지와 협력을 호소할 계획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6일(현지시간) 트위터에 “북한과의 대화에 있어 가능성 있는 진전이 이뤄지고 있다”며 “수년 만에 처음으로 진지한 노력이 모든 관련 당사자들에 의해 펼쳐지고 있다”고 밝혔다.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2018-03-07 1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