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한파에 농산물값 ‘껑충’…외식비 상승률 2년래 최고수준

한파에 농산물값 ‘껑충’…외식비 상승률 2년래 최고수준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3-06 09:58
업데이트 2018-03-06 10: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체물가는 5개월째 1%대…농축수산물 5개월만에 최대폭 상승

올해 이례적이었던 한파 영향으로 지난달 농산물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했다.

외식비 물가 상승률은 작년 말부터 고공행진하고 있으며, 외식 외 서비스 부문에서도 물가 상승세가 확연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전체 물가는 5개월 연속 1%대를 유지하며 상대적으로 안정된 수준을 유지했다.

6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1년 전보다 1.4% 상승했다.

지난해 9월까지 2% 내외에서 맴돌던 소비자물가는 같은해 10월 1%대로 떨어진 이후 지난달까지 1%대를 기록하며 상대적으로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

품목별로 보면 올해 겨울 한파 영향으로 채소류 가격이 급등하면서 농산물 물가가 1년 전보다 7.4% 상승, 전체물가를 0.34% 포인트(p) 끌어올렸다.

농산물은 기저효과 등 영향으로 지난해 11월 이후 마이너스를 기록하다가 4개월 만에 상승세로 전환했다.

농·축·수산물 물가는 3.5% 상승하면서 지난해 9월(4.8%) 이후 5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상승세를 기록했다.

전기·수도·가스는 1.5% 하락하면서 전체물가를 0.06%p 끌어내리는 역할을 했다.

서비스물가는 1.7% 올라 전체물가를 0.95%p 견인했다.

이중 개인서비스 물가는 2.4%로 전달(2.0%)보다 상승 폭이 확대되면서 전체물가를 0.78%p 끌어올렸다.

개인서비스 중 외식 부문은 1월과 마찬가지로 2.8% 상승했다.

공동주택 관리비, 학원비 등 외식 외 부문 물가도 대체로 상승 폭이 커진 것으로 파악됐다.

지출목적별 지수 기준으로 음식 및 숙박 물가 상승률은 2.8%를 기록해 2012년 1월(4.1%) 이후 두 달 연속 가장 높은 수준의 상승률을 유지했다.

최저임금 상승의 영향은 지난해 말부터 이미 물가에 반영됐다는 분석도 나온다.

외식물가 상승 폭은 최저임금 인상 직전인 작년 말부터 커지기 시작했다.

작년 12월 2.7%로 1년 7개월 만에 최고를 기록했고 상승 폭은 올해 1월 2.8%로 확대했으며 지난달에도 같은 수준의 상승 폭이 유지됐다.

이에 따라 지난달 외식 물가 상승률은 2016년 2월 2.9%를 기록한 후 최근 2년 사이에 가장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당국은 최저임금 인상의 영향이 뚜렷이 나타나지 않았다는 해석을 유지하고 있다.

김윤성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보통 외식 물가는 1·2월에 많이 오른다. 인건비의 영향이 있을 수 있지만, 식재료비·임차료 등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며 “최저임금 인상의 영향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기획재정부는 “개인서비스 중 외식은 (상승 폭이) 전월 수준을 유지했으나, 설 연휴에 따른 여행비 상승 등으로 상승 폭이 확대했다”고 분석했다.

서민들의 체감 물가지수인 생활물가지수는 1.4% 상승하면서 전달(0.8%)보다 상승 폭을 확대했다.

이중 식품 물가는 1.9%, 식품 이외에서는 1.1%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어류·조개·채소·과실 등 신선식품지수는 4.3% 상승하면서 4개월 만에 상승세로 전환했다. 전달 13.1% 하락했던 신선채소는 지난달 3.5% 상승 반전했다.

계절 요인이나 일시적인 충격에 따른 물가변동분을 제외한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는 1.2% 상승하면서 전달(1.1%)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김윤성 과장은 “물가는 특정 수치를 기준으로 높다 낮다 정의하기는 어렵지만, 지금은 안정적이라고 볼 수 있다”며 “다만 2월은 1월 한파 영향으로 농수산물이 오른 점이 있다”고 말했다.

기획재정부는 “가격 강세를 보이는 일부 채소류에 대해 수급·가격 안정 대책을 추진하고 생육관리를 강화할 것이며 개인서비스 물가 안정을 위해 소비자단체와 연계한 물가 감시 강화 및 일자리 안정자금 등 소상공인 지원대책 이행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