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그때의 사회면] 우골탑의 비애/손성진 논설주간

[그때의 사회면] 우골탑의 비애/손성진 논설주간

손성진 기자
입력 2018-03-04 17:50
업데이트 2018-03-04 17: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골탑(牛骨塔)이라는 말은 소를 팔아 대학 등록금을 마련하느라 내다 판 소의 뼈다귀로 세운 탑, 즉 대학을 빗댄 말이다. 지금도 대학 등록금은 학부모들의 큰 부담이 되고 있지만 살기 어려웠던 시절에는 어떠했으랴. 1957년 지방 소도시에 있는 K사범대학에서는 전교생 850명 중 524명이 등록금을 내지 못해 무더기 제적을 당하는 일이 벌어졌다. 농촌 사정이 얼마나 어려웠으면 그랬을까. 이듬해에는 부산의 S대학에서 같은 이유로 학교 측이 125명을 제적하자 학생들과 교직원 사이에 난투극이 벌어지기도 했다. 1959년에는 서울의 명문 K대학에서 등록금을 내지 못한 신입생 41명의 입학이 취소된 일도 있었다. 그보다 더 안타까운 것은 대학에 합격했는데 등록금을 마련할 길이 없음을 비관해 자살한 예비 대학생들이 속출한 일이다. 등록금을 마련하려고 강도 등의 범죄를 저지른 신입생이나 재학생의 기사가 심심찮게 등장했다. 사회 각 분야에서 시위가 잦아진 1960년에는 비싼 등록금 문제 등을 둘러싸고 학내 분규가 동시에 벌어졌다. 등록금 인하를 요구하는 학생들은 시내까지 나와 과격한 시위를 벌였고 연행된 학생들의 석방을 요구하며 경찰서를 습격한 사건도 벌어졌다.(동아일보, 1960년 10월 9일 자)
이미지 확대
1960년대에도 사정은 나아지지 않았다. 1964년 2학기의 재학생 등록률을 보면 서울대, 연세대 각각 42%, 고려대 50%였다. 대학들은 추가등록의 기회는 주었지만 학생들이 요구하는 분납제는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런데도 등록금은 해마다 대폭 올랐다. 1967년 대학들은 등록금은 20%, 수업료는 35~39% 인상했다. 당시 입학금은 6000원, 수업료는 2만원 정도였다. 대학 운영을 등록금에 의존하다 보니 대학과 학생들의 충돌은 끊이지 않았다. 정부는 정부대로 등록금을 억제하려 했지만 큰 효과가 없었다. 1969년에 이르면 신입생 등록금은 6만 6000원으로 크게 올랐다. 1967년 기준으로 하면 현재의 대학 등록금은 약 250배 오른 셈이다.

대학 등록금은 고사하고 그보다 금액이 적은 중고교 입학금을 마련하지 못해 발을 동동 구르는 안타까운 사연들이 신문 사회면에 실렸다.(경향신문, 1957년 4월 8일 자) 대학보다는 적다 해도 당시 중고교 등록금은 대학의 절반가량일 정도로 지금보다는 비싼 편이었다. 대학은 소를 팔아야 한다지만 중고교 입학금은 그보다 적으니 입학철만 되면 붐비는 곳이 전당포였다. 금붙이, 옷, 라디오, 재봉틀까지 전당포에 맡기고 돈을 변통해 썼다. 등록철만 되면 전당포에는 사람들이 한꺼번에 몰려 일손이 달릴 지경이었다. 금은방에서는 금붙이를 팔려는 사람들이 한꺼번에 몰려 돌려보내는 데 애를 먹기도 했다. 사진은 교육비 급등을 다룬 1971년 2월의 신문기사.
2018-03-05 26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