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과거 대북특사는…정상회담·북핵문제 돌파구 위해 가동

과거 대북특사는…정상회담·북핵문제 돌파구 위해 가동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3-02 10:30
업데이트 2018-03-02 1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문재인 대통령이 1일 대북특사 파견 방침을 공식화하면서 과거에는 누가 어떤 임무를 띠고 특사로 파견됐었는지 관심이다.

남북 간에 첫 정상회담이 열린 2000년 이전에는 ‘밀사’에 가까웠다. 1972년 5월 당시 이후락 중앙정보부장이 평양을 비밀리에 방문해 김일성을 두 차례 면담한 게 대표적이다.

2000년대 이후 특사는 크게 두 가지 성격으로 나뉜다. 정상회담을 준비하기 위한 특사와 남북관계나 북핵문제에서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한 특사다.

정상회담을 위한 특사는 대체로 성공적이었지만, 북핵문제에선 특사가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는 데 한계가 있는 경우도 있었다.

2000년대 들어 첫 특사는 2000년 3월 박지원 당시 문화관광부 장관과 송호경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부위원장이 남북의 특사 자격으로 중국 상하이에서 비밀 접촉해 남북정상회담 개최를 논의한 게 처음이다.

이들은 그해 4월 베이징에서 다시 만나 역사적인 첫 남북정상회담에 합의했다.

이후 임동원 당시 국가정보원장이 그해 5월 특사 자격으로 평양을 방문,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비롯한 북한 고위인사들을 만나 정상회담을 사전에 조율했다.

이때까지 특사 파견은 모두 비공개였다. 첫 공개 특사 파견은 2002년 4월로, 임동원 당시 외교안보통일특보 파견 방침이 방북 일주일 전 공식 발표됐다.

당시 김대중 대통령이 특사를 파견한 것은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의 취임 이후 소강상태에 접어든 남북관계에서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서였다. 임동원 특보는 방북 기간 김정일 위원장을 면담하고 이산가족 상봉 등의 결과물을 가져왔지만, 한반도 정세의 큰 물줄기를 바꾸지는 못했다.

부시 대통령의 ‘악의 축’ 발언으로 고조된 북미 간 긴장은 2002년 10월 북한의 고농축우라늄 개발 의혹이 불거지고 2003년 1월 북한이 핵확산금지조약(NPT) 탈퇴 선언을 하면서 더욱 치솟았다.

그러자 김대중 대통령은 2003년 1월 임동원 특보를 다시 특사로 파견했다. 그러나 그는 김정일 위원장을 만나지도 못한 채 빈손으로 내려와야 했다.

노무현 정부에서도 북핵 문제를 풀기 위해 대북특사가 가동됐다.

북한의 거부로 6자회담이 1년간 공전하던 2005년 6월 당시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특사로 파견돼 김정일 위원장을 만나 200만㎾ 대북송전 제안 등으로 북한의 6자회담 복귀를 설득했다.

북한은 한 달 뒤 6자회담에 복귀했고 그해 9월에는 북핵 문제 해결의 로드맵을 담은 9·19 공동성명 채택에까지 이르렀다.

당시 정 장관은 6·15민족통일대축전 참석차 평양에 방문한 것으로 여겨졌지만, 방북 도중 특사로 확인됐다.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이 이번에 평창올림픽 개회식 참석차 내려왔다 특사임이 밝혀진 것과 비슷하다.

가장 최근의 특사 파견은 2007년 10월 2차 정상회담을 앞두고 김만복 당시 국정원장이 8월에 두 차례 방북해 김정일 위원장에게 대통령 친서를 전달한 것이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