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세월호, 땅 위 오른 지 316일 만에… 처음 움직였다

세월호, 땅 위 오른 지 316일 만에… 처음 움직였다

최종필 기자
최종필 기자
입력 2018-02-21 23:06
업데이트 2018-02-22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선체 세우기 사전작업 돌입

시속 1㎞로 ‘90도 회전’ 성공
해상 크레인으로 8400t급 세워
최하층 기관 구역ㆍ우현 등 수색
“예상보다 빠른 5월 중 끝날 수도”
유족들 마르지 않는 눈물
유족들 마르지 않는 눈물 21일 오전 전남 목포신항에서 옆으로 누워 있는 세월호를 바로 세우는 사전 작업이 시작됐다. 경기 안산에서 내려온 유가족들이 이를 지켜보며 눈물을 훔치고 있다.
목포 연합뉴스
세월호를 바로 세우는 선체 직립을 앞두고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작업이 21일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전남 목포신항에 육상 거치가 완료된 지 316일 만에 첫 이동이다.

세월호 선체조사위원회와 현대삼호중공업은 이날 오전 8시부터 정오까지 4시간에 걸친 작업 끝에 선체 이동을 마쳤다고 밝혔다. 세월호 선체 하부를 받치고 있던 모듈 트랜스포터(MT) 364축을 이용해 선체를 최고 50㎝까지 띄운 뒤 90도 각도로 이동시켰다. 길이 148m의 선체를 여러 번 조금씩 움직이는 방법으로, 시속 1~1.2㎞ 속도로 이뤄졌다. 선체 직립을 위한 사전 작업은 원형을 최대한 보존하는 방향으로 진행됐다.

세월호 선체는 부두와 수평 방향으로 60m 거리를 유지하게 됐다. 현대삼호중공업 측은 세월호 선체 직립에 활용될 1만t급 크레인의 붐대 각도가 61도를 유지하고 거리가 60m를 유지할 때 가장 힘을 많이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기존에 세월호가 놓였던 자리에 이동식 소형 펜스를 설치하고 옷가지 등 선체에서 나온 유류품도 수거했다.

이상균 현대삼호중공업 부사장은 “세월호를 돌리는 3단계 작업 중 1단계를 마쳐 30% 성공을 거뒀다”며 “선체 보강과 직립을 위한 준비 작업도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부사장은 “당초 계획했던 5월 말보다 더 빨리 공정을 단축할 수도 있다”며 “선체가 정상이 아니어서 보강작업과 고박에 신경 쓰겠다”고 말했다. 이 부사장은 “선체를 주저앉히는 게 아니라 틀을 짜서 서서히 굴리는 방식으로 손상 가지 않게 직립할 예정”이라며 “선체가 생각보다 약하지만 보강작업을 충실히 해 현재 모습을 최대한 손상하지 않고 안전하게 세우겠다”고 말했다.

목포신항 철제부두를 찾은 유가족 40여명은 먼발치서 강한 바람을 맞으며 묵묵히 작업 과정을 지켜봤다. 유가족들은 세월호가 바로 서면 그동안 접근이 불가능했던 최하층인 기관구역 조사가 이뤄져 미수습자 수색과 사고 원인 조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인양 당시 규정상 잠겨 있어야 할 세월호 기관구역 격실들 대부분의 문이 열려 있었고 이곳에서 인골이 발견되기도 했다.

세월호의 현재 무게는 예상치와 근접한 약 8400t이다. 1만t급 해상 크레인을 투입해 바로 세우게 된다. 지난해 4월 세월호를 인양해 육상에 거치할 때도 사용된 장비다. 유압장치가 달려 있어 높낮이를 제어하거나 좌우로 움직임을 바꿀 수도 있다. 여러 대를 결합하면 지네처럼 함께 움직이며 수천t의 구조물도 들어 올려 옮길 수 있다.

유경근 4·16 세월호 참사 가족협의회 집행위원장은 “세월호를 바로 세우기 위한 첫 공정을 성공적으로 수행해 다행”이라며 “그동안 접근할 수 없었던 구역에 대한 미수습자 수색과 선체조사가 마무리될 날만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김창준 세월호 선체조사위원장은 “참사 원인을 규명할 주요 단서가 대부분 우현에 있는데 그동안 들어갈 수 없었다”며 “증거 보존을 위해 최대한 훼손하지 않고 원형 그대로 들여다볼 계획”이라고 밝혔다. 목포 최종필 기자 choijp@seoul.co.kr
2018-02-22 13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