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엥겔계수의 상승/임창용 논설위원

[씨줄날줄] 엥겔계수의 상승/임창용 논설위원

임창용 기자
임창용 기자
입력 2018-02-20 22:26
업데이트 2018-02-20 22: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살림살이가 팍팍해져도 줄이기 어려운 게 먹거리 지출이다. 여행이나 영화 관람은 못 해도 밥은 굶을 수 없으니 당연한 이치다. 가계에서 식료품비 지출은 이처럼 어느 정도 고정비의 특성을 갖는다. 1857년 독일의 사회통계학자 에른스트 엥겔은 이런 이치를 담은 ‘엥겔계수’를 만들었다. 가계의 전체 지출에서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중을 수치로 나타낸 것이다. 식료품비 지출 비중이 저소득 가계일수록 높고 고소득 가계일수록 낮다는 ‘엥겔의 법칙’도 이때부터 쓰였다.
우리나라에선 6·25전쟁 이후 50%가 넘던 엥겔계수가 1970년대 이후 고도성장기를 거치면서 급속하게 낮아졌다. 공식적인 조사가 이루어지지는 않았지만, 1970~80년대만 해도 엥겔계수가 30~40%였다. 한국은행의 통계에 따르면 전국의 가구를 대상으로 공식적인 조사가 이루어진 2000년 이후에도 엥겔계수는 꾸준히 낮아졌다. 2000년 13.9%에서 2005년 12.3%로 떨어졌고, 2007년 최저치(11.8%)를 찍었다.

특이한 점은 그 이후 엥겔계수가 계속 상승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2008년 12.0%, 2011년 13.0%, 2016년 13.6%로 증가했다. 엊그제 한국은행이 내놓은 국민계정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3분기 가계의 소비지출 573조원 중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품 지출은 79조원이었다. 엥겔계수를 구해 보면 13.8%로, 작년보다 0.2% 포인트 높아졌다.

과거와 달리 요즘 엥겔계수가 높아지는 것은 꼭 살림살이가 어려워서만은 아니다. 고급식품 선호 현상이나 맞벌이 보편화, 인구 고령화 등에 따른 소비 트렌드 변화가 더 크게 작용한다는 분석도 있다. 일본도 2005년 엥겔계수가 상승세로 돌아섰고, 2016년 2인 이상 가구의 엥겔계수가 25.8%로 29년 만에 가장 높았다고 한다. 총무성의 분석 결과 식품 가격 상승과 함께 조리식품 구매와 같은 라이프스타일 변화, 엔화 약세, 전체적인 소비 감소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도 맞벌이 증가와 급속한 고령화 등으로 엥겔계수 추이가 일본과 유사한 패턴을 보이고 있는 듯하다. 고급 식음료를 즐기는 ‘욜로족’ 등장이 엥겔계수에 영향을 준다는 주장도 있다. 단순히 엥겔계수 상승과 빈곤을 직접 연결하기 어려워진 이유다. 요인이 무엇이든 엥겔계수 상승이 나라 경제에 그리 긍정적이지는 않아 보인다. 결국 다른 지출을 줄여 내수를 제약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양한 재미를 추구하는 개인의 삶의 질을 위해서라도 최근 급등한 장바구니 물가가 잡혔으면 한다.

임창용 논설위원 sdragon@seoul.co.kr
2018-02-21 31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