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정부, 신약개발 인공지능 만든다

정부, 신약개발 인공지능 만든다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18-02-04 22:18
업데이트 2018-02-04 22:4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빅데이터 활용 플랫폼 하반기 구축…후보물질 개발 기간 5분의1로↓

정부지원 연구사업으로 만들어진 화합물들에 관한 빅데이터를 분석해 신약개발 기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인공지능(AI)이 개발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AI+빅데이터 활용 차세대 신약개발 플랫폼’ 구축을 올 하반기부터 시작한다고 4일 밝혔다. 글로벌 의약품 시장은 매년 4~7% 성장세를 보이고 있어 2021년에는 최대 1800조원의 시장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신약 하나를 만드는 데 10~15년의 연구기간과 1조원 이상의 연구투자가 필요하고 성공확률도 낮다. 더군다나 국내 1위 제약사도 글로벌 1위 제약사 매출의 45분의1 수준에 불과해 연구개발(R&D) 투자는 쉽지 않았다.

신약 개발은 후보물질 발굴, 동물을 상대로 한 전임상실험,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임상시험을 거쳐 상용화돼 판매까지 4단계를 거친다. 이번에 정부가 개발을 추진하는 AI는 신약 개발의 가장 첫 번째 단계인 신약후보물질 발굴에 특화될 전망이다.

후보물질 발굴은 실험결과, 논문자료 등 연구데이터가 주로 활용되는데 현재 한국화학연구원에는 그동안 국가R&D사업을 통해 만들어진 약 50만건의 데이터베이스가 있다. AI는 이들 데이터 중에서 신약 개발로 이어질 수 있는 최적의 후보물질을 제시하고 향후 실험결과까지 효과적으로 예측해 전임상과 임상시험 단계의 시행착오를 줄이게 된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평균 5년 정도 걸리는 후보물질 개발이 1년으로 줄게 되면서 신약 개발 전체 기간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2018-02-05 21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